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완 |
dc.contributor.author | 이태진 |
dc.contributor.author | 윤상용 |
dc.contributor.author | 최현수 |
dc.contributor.author | 김문길 |
dc.contributor.author | 강성민 |
dc.date.accessioned | 2010-11-09T02:23:13Z |
dc.date.available | 2010-11-09T02:23:13Z |
dc.date.issued | 200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70 |
dc.description.abstract | ▣ 주요연구내용 - 우리나라의 영화산업은 지난 10년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음. 위와 같은 발전을 토대로 2007년에 우리나라의 영화산업은 영화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 많은 스크린 수를 확보 - 영화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영화인들은 열악한 제작환경에 처하여 낮은 임금에 직면하고, 공적연금을 비롯한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놓여 져 있어 적절한 노후대비가 불가능한 실정 ▣ 보고서의 구성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필요성 및목적 제2절 연구방법 제3절 연구내용 및 한계 제2장 영화인 지원제도 도입 필요성 및 영화산업분야 실태 제1절 영화인 지원제도 도입필요성 제2절 한국영화산업 실태 제3장 국내외 예술인 복지지원사업 실태 제1절 외국의 예술인 복지지원 제도 제2절 한국의 영화인 복지지원사업 현황 제4장 영화인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분석 제1절 영화인 생활실태조사 개요 제2절 영화인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결과 제5장 영화인 복지지원 정책방안 제1절 고령영화인 지원 체계 구축방안 제2절 고영화인에 대한 생활지원 제도 운영방안 제3절 장기적 영화인 복지지원제도(안) 제4절 재원조달 제6장 결론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6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영화인복지재단 |
dc.publisher | 한국영화인복지재단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영화인 복지정책 효율화 방안 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문길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태완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태진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최현수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08-27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