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진욱 |
dc.date.accessioned | 2013-09-30T09:23:12Z |
dc.date.available | 2013-09-30T09:23:12Z |
dc.date.issued | 2013-09-13 |
dc.identifier.issn | 2092-717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688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4/2013.09.207 |
dc.description.abstract | - 일본은 2003년 인구 10만명당 자살사망률이 40.1명으로 OECD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2012년 자살사망률은 31.1명으로 OECD 국가 중 4위를 유지하고 있음 - 2006년「자살예방기본법」에 근거하여 2007년부터「제1차 자살종합대책」을 추진(2007~2011년)하였고 2012년 8월「제2차 자살종합대책」을 수립하였음 -「제2차 자살종합대책」은 2012~2017년 동안 추진될 예정으로 향후 5년간 매년 3,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며 2013년도 예산은 3,140억원임 -「제2차 자살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으로는 인터넷 등을 통한 지원정보의 집약 제공 강화 및 다양한 분야의 게이트키퍼 양성, 청소년 대상 생명존중 교육, 생계곤란 및 스트레스에 대응방법 교육, 그리고 정신과 의료체계 정비 및 근로자들의 정신건강 교육 강화 등이 있음 - 자살대책에 대한 일본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의지와 예산 투입 등은 자살대책 관련 예산이 연간 약 30억원에 불과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며, 특히 우리나라도 일본의「지역자살대책긴급강화기금」과 같은 자살관련 기금을 마련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적인 자살대책 추진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음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일본의 자살 현황 2. 일본의 자살대책 수립 배경 및 경과 3.「지역자살대책긴급강화기금」을 통한 자살대책 지원 4. 자살대책 예산 5. 시사점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일본의 자살 현황 및 대책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일본 |
dc.subject.keyword | 자살 |
dc.subject.keyword | 자살예방기본법 |
dc.subject.keyword | 자살종합대책 |
dc.identifier.doi | 10.23064/2013.09.207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 Issue & Focus |
dc.citation.title | Health Welfare Issue & Focus |
dc.citation.volume | 207 |
dc.citation.startPage | 1 |
dc.citation.endPage | 8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 Issue & Focus 207호, pp.1-8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Welfare Issue & Focus No.207, pp.1-8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