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가족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별도의 요약장이 구성되어 있지 않아 요약파일을 첨부하지 않았습니다.
▣ 주요연구내용 - 장애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장애인복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 새로운 복지 수요 증가에 따른 신규 서비스 제공 필요 - 활동보조 및 수발 서비스 등 개인생활 보조 서비스 수요 증대, 생활시설, 교육시설, 장애인복지관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상담 서비스 수요 증대, 성년 후견제 등 법률적 지원서비스 수요 확산 등 차별금지, 이동권, 주거보장, 가사지원서비스, 문화생활 등에 대한 욕구도 높은 수준 ▣ 보고서의 구성
Table Of Contents
제1부 총론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수행체계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직업적 장애 평가
제3장 서비스 욕구평가
제4장 장애판정 및 서비스 욕구 평가체계
제5장 의료적 평가
제2부 직업평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제3절 연구의 방법 제4절 국내법의 직업적 장애 관련 내용 제5절 직업평가 실시 현황
제2장 제 외국의 직업적 장애의 개념과 판정체계 제1절 미국의 직업적 장애의 개념과 판정체계 제2절 영국의 고용지원 시스템과 직업적 장애판정 제3절 호주의 고용지원 시스템과 직업적 장애판정 제4절 일본의 직업적 장애의 개념과 판정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