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의 관계: 노인집단과 다른 연령집단 비교 = Relationship Between Social-Economic Resources and Health: A Comparison of Elderly With Different Age Group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순둘 |
dc.contributor.author | 김유휘 |
dc.contributor.author | 최혜지 |
dc.date.accessioned | 2013-07-11T01:55:43Z |
dc.date.available | 2013-07-11T01:55:43Z |
dc.date.issued | 2013-06-0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480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의 관계를 노인과 다른 연령집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노인의 건강에 대한 함의를 찾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 8개 도 지역에 거주하는 20~44세 406명, 45~64세 405명, 65세 이상 405명 등 총 1,216명을 대상으로 할당표집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결과에 대해 빈도,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가족·친구·이웃 관련 사회참여, 단체활동 사회참여, 미시적 신뢰, 거시적 신뢰, 네트워크, 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자원과 주관적 건강인식·신체적 기능에서 연령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거시적 신뢰를 제외한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은 노인집단이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거시적 신뢰의 경우는 노인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별 사회경제적 자원이 종속변수인 주관적 건강인식과 신체적 기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 집단별 설명변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자원 중 가구소득은 다른 연령집단과 달리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경제적 자원 중 가족·친구·이웃 관련 사회참여와 미시적 신뢰와 같은 요인이 노인집단의 신체적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원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health, social-economic resources among the elderly and the different age groups, to examine how social-economic resources influence on health among the elderly as compared to different age groups, and to find out its im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7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and 8 provinces, and a total of 1,216 adults (406 persons aged 20-44, 405 persons aged 45-64, and 405 persons aged above 65) were analyz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examine data. Health, social-economic resourc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lder age groups, but tru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lderly age group. We found that self-rated health and physical functioning among different age groups were influenced separately by different factors. Especially, participation in activity with family and friends is significant in elderly age group. Based on the result, we discussed the role of resources for promoting health of elderly people, and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polic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2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의 관계: 노인집단과 다른 연령집단 비교 |
dc.title.alternative | Relationship Between Social-Economic Resources and Health: A Comparison of Elderly With Different Age Group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건강 |
dc.subject.keyword | 사회경제적 자원 |
dc.subject.keyword | 노인 |
dc.subject.keyword | 연령집단 |
dc.subject.keyword | Health |
dc.subject.keyword | Social-economic Resources |
dc.subject.keyword | The Elderly |
dc.subject.keyword | Age Groups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33 |
dc.citation.number | 2 |
dc.citation.startPage | 63 |
dc.citation.endPage | 9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2호, pp.63-9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2, pp.63-90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