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활동에 대한 연금정책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Measures to Support Child Care through the National Pension Scheme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진 |
dc.contributor.author | 이정우 |
dc.date.accessioned | 2013-07-11T01:52:24Z |
dc.date.available | 2013-07-11T01:52:24Z |
dc.date.issued | 2013-06-0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478 |
dc.description.abstract | 아동의 출산과 양육은 적정인구의 유지와 세대간 역할계승 등 사회적으로 상당한 효용을 가져다주는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비용은 대부분 해당 가정에게 돌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모순현상은 개인별로는 출산의 지연이나 기피 등으로 나타나고, 사회 전체적으로는 저출산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출산과 양육활동으로 인한 비용의 사회화를 위한 정책방안의 마련이 요구되며, 이는 보육-교육-조세-노동-사회복지 등 제반의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필요가 있다. 그 일환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개별 가정이 양육활동으로 인해 겪게 되는 연금수급권의 불리문제를 연금정책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육활동에 대한 연금가입인정의 당위성으로서 ‘양육활동의 공공성’ 그리고 ‘양육비용에 대한 부담조정’을 이론적 차원에서 검토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양육활동에 대한 연금정책적 지원의 기본방향을 연금가입단계와 수급단계로 구분하여, 각 방안별 정책모형의 특징 및 장단점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에 있어서 양육활동에 대한 연금가입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적용대상의 범위, 연금가입인정방식과 수준, 연금가입 인정기간, 소요재원의 조달방식으로 구분하여 각 사안별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research aims to search for the measures at the level of national pension scheme to deal with the disadvantages of pension benefit rights which individual families receive because of child care activities. Currently, there is a Childbirth Credit policy in Korean National Pension Scheme for families who have two or more children. However, with regard to this policy, the criteria for eligibility for pension participation and the eligible period for pension benefits are too restrictive. Further, it has been criticized for shifting the financial burden toward the National Pension Fund. In this respect, the important aspects of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public characteristic of child care activity’ and ‘burden adjustments of child care cost’ has been theoretically reviewed as a part of justification for pension participation. Secondly, this paper classified child care support measures in terms of the National Pension Scheme into pension participationstage and pension benefits stage. The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 well as the features of each policy model has been assessed.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is paper suggests child care support measures at the pension participation stage. The key issues regarding the support measur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e range of eligibility, the conditions and level of pension participation, the eligible period of service and the financing methods. With respect to each category, specific policy proposals have been discuss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Ⅱ. 양육활동에 대한 연금정책적 지원의 당위성과 우리나라 국민연금 출산크레딧제도의 비판적 평가 Ⅲ. 양육활동에 대한 연금정책적 지원방안별 특징 및 장단점 비교 Ⅳ. 양육활동에 대한 연금가입 인정방식의 개선방안 Ⅴ. 종합 및 결론 참고문헌 |
dc.format.extent | 31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양육활동에 대한 연금정책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Research on Measures to Support Child Care through the National Pension Scheme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양육활동 |
dc.subject.keyword | 국민연금제도 |
dc.subject.keyword | 연금수급권 |
dc.subject.keyword | 출산크레딧 |
dc.subject.keyword | 연금가입인정 |
dc.subject.keyword | 부담조정 |
dc.subject.keyword | Child Care |
dc.subject.keyword | National Pension Scheme |
dc.subject.keyword | Pension Benefit Rights |
dc.subject.keyword | Childbirth Credit |
dc.subject.keyword | Approval of Pension Participation |
dc.subject.keyword | Burden Adjustment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33 |
dc.citation.number | 2 |
dc.citation.startPage | 128 |
dc.citation.endPage | 158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2호, pp.128-158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2, pp.128-158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