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년기 삶의 조건과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지표체계 개발 ○ 고령화 시대에 노인복지정책의 추진 및 성과관리에 필요한 주요지표 개발 ○ 개별지표에 기초한 지수화 작업 □ 노인의 현황·욕구의 체계적 파악 및 제도적 보완과 자원배분의 우선 순위 결정에 필요한 계량적 자료 확보 ○ 노인실태조사, 노인관련 각종 조사, 행정통계 등을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현황 파악 ○ 노인대상 정책별 정책과 노인의 욕구를 연계하여 욕구의 충족도 및 향후 정책적 우선순위 파악 □ 각종 노인대상 정책의 적용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행정통계의 표준화 및 지속적 생산방안 마련
Table Of Contents
요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9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3 제1절 국제기구가 제시한 기본방향과 개별지표 13 제2절 외국의 노인관련 지표체계 21 제3절 한국의 지표체계 31 제4절 종합 57
제3장 노인의 삶의 질 지표체계 개발 63 제1절 지표체계 구성의 기본 방향 63 제2절 영역별 지표체계 67 제3절 최종 한국노인의 삶의 질 지표체계 92
제4장 한국 노인의 삶의 질 현황 113 제1절 대표지표 선정 113 제2절 영역별 삶의 질 현황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