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형 복지모형 구축 - 복지환경의 변화와 대안적 복지제도 연구 = Designing A Korean Welfare State Model: Environment challenges of welfare states and the feasibility of alternative welfare program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박종현
dc.contributor.author백승호
dc.contributor.author이상호
dc.contributor.author이승윤
dc.contributor.author정준호
dc.contributor.author주은선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contributor.author조한나
dc.date.accessioned2018-04-19T04:48:21Z
dc.date.available2018-04-19T04:48:2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bn978896827483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498
dc.description.abstract본 보고서는 한국 복지국가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특징과 미래의 도전에 대응하여 복지국가의 재구조화 방안과 대안 복지제도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와 복지국가 형성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파고가 우리나라의 노동시장과 복지국가에 미칠 파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현재의 특성과 미래의 파고에 맞서 근로계층을 위한 복지제도, 가족지원제도, 노후소득보장제도의의 재구조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대안적 복지제도로서 자산기반 복지제도, 사회적 경제, 공유경제, 그리고 기본소득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elfare state and to identify ways to restructure the current system and establish alternative welfare programs in response to emerging social challenges. To do thi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challenges of Korea and traits of the Korea welfare state formation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upcom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discussed. In this vein, current welfare programs for working class and family and income security for old-aged are reevaluated. In addition, the feasibility of the asset-based policy, social economy, sharing economy and basic income as alternative welfare programs are investigated. Contrary to the Western welfare states, Korea has developed through the heavy chemicals industry, the direct financial support and the investment in social overhead capital (SOC), leaving the domestic economy to the family themselves and the market. The 1997 financial crisis shows a turnover from economic crisis to social crisis due to the developmental mode of regulation of the least interventionism in family polic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pid population ageing accelerate the discussion on the revolution in the current welfare state. The working class, susceptible to the high portion of self-employed, worsened dual labour market and increase in crowd workers under the new gig economy, reveals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ocial insurance scheme, which was the main pillar of the modern welfare states. This leads to the need for establishing a Korean ‘flexicurity’ model and the systematization of social allowances loosely connected to personal labour experiences. For family policies acquired by the rapid quantitative growth over a qualitative unripeness, various benefits should be reorganized under the principles of universality, benefit adequacy, gender effectiveness, compatibility and priority between programs, reestablishing the value of the family care in policy. As multi-pillar Income security for old age is evaluated as insufficient, it is required to reform the system by increasing benefits and universalizing the beneficiaries of the Basic pension, increasing income replacement rate and the taxable income ceiling in the National pension and introducing a targeted assistance for the elderly maintaining themselves only with the Basic pension as income sources. Asset-based policy, social economy, sharing economy and basic income have taken place of alternative welfare schemes against the limitations of current welfare states. These, however, are double-edged swords: It is possible not only that the limitations of current welfare states could be complemented or be replaced but also that the existing welfare schemes might be eroded. It is time for a precise plan for all possible futures of alternatives to the current welfare stat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5 제1부 이론적 배경 제1장 서론 3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9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44 제2장 한국 복지국가에 대한 조절이론적 접근 47 제1절 서론 49 제2절 조절양식으로서의 ‘복지’국가 50 제3절 한국의 자본주의와 조절양식의 위기 59 제4절 소결 83 제3장 기술변화 및 노동시장 변화와 기존 복지국가정책의 한계 85 제1절 서론 87 제2절 기술변화와 새로운 경제 담론의 등장: 디지털 플랫폼 경제 89 제3절 기술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친 효과: 기술실업과 기그경제의 등장 99 제4절 기존 복지국가정책의 한계 108 제5절 소결 116 제2부 기존 복지제도의 재구조화 방안 제4장 근로계층을 위한 복지제도의 재구조화 방안 121 제1절 서론 123 제2절 한국 불안정노동시장의 확대와 복지제도 125 제3절 재구조화를 위한 방향 148 제4절 소결 164 제5장 가족지원정책의 재구조화 방안 169 제1절 서론 171 제2절 가족지원정책의 변화와 현재 175 제3절 재구조화를 위한 쟁점 및 방안 192 제4절 소결 210 제6장 노후소득보장제도 재구조화 방안 219 제1절 서론 221 제2절 한국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성 224 제3절 한국 노후소득보장제도 재구조화 고려 요소 227 제4절 한국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개혁 과제 239 제5절 한국 노후소득보장제도 재구조화 방안 254 제6절 소결 267 제3부 대안적 복지제도의 적용 가능성 제7장 자산기반복지, 다주제(多柱制)의 새로운 가능성 273 제1절 서론 275 제2절 자산기반복지의 등장 배경과 주요 쟁점 276 제3절 자산기반복지제도의 국내 현황 및 평가 303 제4절 소결 318 제8장 사회적경제, ‘복지의 민영화’와 ‘복지의 혁신’ 사이에서 323 제1절 서론 325 제2절 사회적경제의 등장 배경, 개념, 쟁점 326 제3절 사회적경제의 국내 현황과 평가 350 제4절 소결 361 제9장 공유경제, 소유기반 경제하에서의 작은 실험 365 제1절 서론 367 제2절 공유경제의 의미와 이론적·철학적 배경 372 제3절 공유경제의 실제 운용사례와 주요 특징 382 제4절 공유경제의 복지모델 가능성 395 제5절 소결 407 제10장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새로운 실험 411 제1절 서론 413 제2절 기본소득의 개념, 쟁점 및 철학 420 제3절 기본소득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전략 439 제4절 소결 446 제4부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11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451 제1절 한국 복지자본주의의 위기와 새로운 도전들 453 제2절 기존 복지제도의 재편 방향 456 제3절 새로운 대안의 가능성과 한계 460 제4절 ‘한국형 복지모형’을 향해? 463 참고문헌 4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형 복지모형 구축 - 복지환경의 변화와 대안적 복지제도 연구
dc.title.alternativeDesigning A Korean Welfare State Model: Environment challenges of welfare states and the feasibility of alternative welfare program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한국형 복지모형
dc.subject.keyword조절이론
dc.subject.keyword4차 산업혁명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dc.subject.keyword가족지원정책
dc.subject.keyword노후소득보장
dc.subject.keyword자산기반복지
dc.subject.keyword사회적경제
dc.subject.keyword공유경제
dc.subject.keyword기본소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성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한나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7-4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7-48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