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ODA 평가체계 연구 -보건복지분야 사업평가의 시사점 = Study on the ODA evaluation system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ontributor.author전진아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박복영
dc.contributor.author김부열
dc.contributor.author송민영
dc.date.accessioned2017-05-16T08:18:02Z
dc.date.available2017-05-16T08:18:0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345-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1191
dc.description.abstract□ 원조 효과성 제고가 국제개발협력의 핵심과제로 대두되면서 국제사회가 원조의 성과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체계적 성과관리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중임. □ 수원국 중심의 사업을 통해 원조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수원국의 정책, 현지 실정, 수원국의 국제협력수요와 개발협력 사업의 현황 등 수원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ODA 평가체계와 다양한 평가결과에 대한 연구는 평가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원국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국제협력수요를 파악하는 데도 유용함. □ 다양한 국제협력사업 평가모델과 보건복지분야 ODA 사업평가 사례들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ODA 사업 평가체계의 방향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함.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ODA evaluation system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curr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s of ODA for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We look into issues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ODA for health and social protection. We also review types of evaluation that have been applied to measure the efficiency and efficacy of ODAs. ODA monitoring and evaluation varies by contents and types of ODAs. It includes project evaluation, program evaluation, policy evaluation, sectoral evaluation, thematic evaluation, and country assistance evaluation.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impact evaluation which is recently highlighted in the ODA monitoring and evaluation. Impact evaluation is to put value on whether the ODA actually impacts and/or benefits the recipient’s life well-being not to figure out whether the ODA meets the planned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what and how a multilateral organization(i.e., WHO) and bilateral donors(i.e., England and Japan) monitor and evaluate ODA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We also analyze the current ODA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in South Korea with a focus on child and maternal health.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ODA for health and social protections. This study recommends a more rigorous and objective evaluation scheme. We also need to improve existing feedback system and transparency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9 제2절 연구의 목적 10 제3절 주요 연구내용 11 제4절 연구방법 12 제2장 국제개발협력사업 평가의 목적과 방법 15 제1절 개발사업 평가의 목적과 방법 17 제2절 영향평가 30 제3장 주요 공여국 평가체계와 사례: 보건의료 및 사회정책분야를 중심으로 67 제1절 국제보건기구(WHO) 69 제2절 영국 85 제3절 일본 108 제4장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평가 121 제1절 한국 ODA 평가체계와 현황 123 제2절 보건의료분야 평가사례 137 제5장 한국의 개발협력사업 평가 개선방안 155 제1절 한국의 개발협력사업 평가체계 개선방안 157 제2절 보건복지분야 기획과 성과관리 개선방안 161 참고문헌 173 부록 179 부록1. 영향평가의 방법들 179 부록2.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의 보건복지분야 평가목표와 지표 188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ODA 평가체계 연구 -보건복지분야 사업평가의 시사점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ODA evaluation system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공적개발원조
dc.subject.keyword개발협력사업
dc.subject.keyword모니터링
dc.subject.keyword성과평가
dc.subject.keyword영향평가
dc.subject.keyword무작위통제실험
dc.subject.keywordODA
dc.subject.keywordefficiency
dc.subject.keywordeffectiveness
dc.subject.keywordmonitoring and evaluation
dc.subject.keywordPDM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현경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현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전진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송민영
dc.type.other연구보고서(수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16-0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수시) 2016-02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