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서비스정책 비교 연구 - 사회보장정책 비교연구 5차년 과제 = Focusing on long-term care in developed countries

제목
사회서비스정책 비교 연구 - 사회보장정책 비교연구 5차년 과제 = Focusing on long-term care in developed countries
저자

박수지 ; 김보영 ; 김형용 ; 박수잔 ; 박혜미 ; 윤성원 ; 최연혁 ; 홍이진 ; 김가희이주연

키워드
사회돌봄서비스 ; 장기요양돌봄 ; 이용자 중심의 성과 ; 비교분석
발행연도
201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사회보장 중 소득보장과 대인서비스의 비중이 변화하면서 사회서비스의 의미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최근 유럽 사회보장의 변화를 개관하고자 주요 복지국가의 사회적 돌봄서비스(social care service) 변화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특히 장기요양돌봄(long-term care)의 2000년대 중반
이후의 변화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정책 현황과 성과를 이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수치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향후 우리나라 장기요양돌봄서비스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main aims of this study are (1) to give an overview of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long-term care(LTC hereafter) in 1990s and (2) to define as well as to offer the comparison of user-oriented LTC outcome in selected countries. To meet the object of this study, it conducts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ve administrative materials, statistics and various report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EU and OECD. It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policy changes in selected countries with the framework of analysis including the allocation, benefits, delivery system, financing and monitoring quality. The definition of the user-oriented outcome of the LTC is revisited via extensive review of theoretical studies and the outcomes in selected countries are measured and compared via analyzing data such as SHARE(europe), ELSA(U.K), HRS(U.S) and KLOSA(Korea).
Main results indicates that the traits of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in selected countries does not continuously appear in experiencing LTC policy changes after the mid-2000, especially in those sectors of delivery system and the quality-monitor. Whereas, the level of expenditure and the financing scheme shares the value of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 in each country.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benefits in those countries seems clearly diminished.
In Korea, the LTC services for the seniors and the disabled have been adopted since 2007, which heightened the expectation that the well-being of the recipients would be improved. Indee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ubjected health status of LTC care recipients(disabled ADL) has been improved however disparities among them have been widened for the period between 2006 and 2010 in Korea. Besides, the equity of the recipients in Korea is lower than those of other selected countries. These conflicting results shows that the future exploration of research is necessary, which requires a solid data-set for analysi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2
제2장 주요국 장기요양돌봄(long-term care) 서비스 체계의 비교 25
제1절 사회서비스 정책 국제비교를 위한 분석틀 27
제2절 주요국의 장기요양돌봄 (long-term care) 체계 분석 58
제3장 주요국 장기요양돌봄서비스 체계의 이용자 중심 성과(outcome)
분석: 재가서비스(Home Care)를 중심으로 173
제1절 장기요양돌봄서비스의 성과측정에 대한 접근 175
제2절 중고령자 장기요양돌봄 체계의 현황과 성과 186
제4장 결론 293
제1절 연구의 주요내용 295
제2절 이론적정책적 함의 311
참고문헌 31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4-25
ISBN
978-89-6827-200-4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