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초저출산⋅초고령사회의 인구자질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Population Quality in Lowest-Low Fertility and Super-Aged Society

제목
초저출산⋅초고령사회의 인구자질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Population Quality in Lowest-Low Fertility and Super-Aged Society
저자

이소영 ; 최인선

키워드
초저출산·초고령사회 ; 인구자질의 개념 ; 인구자질 지표
발행연도
201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한국사회는 지속적으로 저출산 현상을 경험해 왔다. 정부는 2005년에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법’을 제정하고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저출산문제에 대한 공식적인 개입을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대응 정책들은 괄목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저출산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인구구조의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인구의 수를 늘리는 양적 접근 방식에서 더 나아가 인구자질의 향상이라는 질적인 접근 방식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인구자질의 현 상태를 진단하며, 초저출산·초고령사회에 대응하여 출산장려정책과 더불어 추진해야 될 인구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population quality in Korea by examining: 1) how population quality is defined from perspectives of diverse scholarly areas, population policies, and history; 2) what factors or indices compose population quality in general and in the lowest-low fertility and super-aged society; and 3) how population quality in Korea is now.
First, the factors composed of population quality are identified through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s and population policies. Second, those factors found in previous literatures and population policies, are categorized based on life course theory and scholarly areas including social science, health, and medical areas. Third, scholars and professionals of each scholarly area are surveyed regarding the definition of population quality and factors composed of population quality in general and in the lowest-low fertility and super-aged society. After the factors composed of population quality a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tatus and trends of selected factors in Korea a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OECD countries.
The factors of population quality that public policies should focus on and that need to be improved are suicide rate, public expenditure on education, elderly health, perceived health statu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rate, income support for the elderly, and social network. Our society continuously need to monitor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m in order to overcome the new challenges posed by the lowest-low fertility and super-aged society.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인구자질의 개념 21
제1절 역사적 관점 23
제2절 학문 분야별 관점 ·29
제3절 인구 정책적 관점 33

제3장 인구자질의 구성요소 43
제1절 이론적 배경 45
제2절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인구자질의 구성요소 47
제3절 인구정책에서 사용된 인구자질의 지표 51
제4절 삶의 질로서의 인구자질의 지표 54

제4장 인구자질의 구성요소 및 개념정립을 위한 전문가조사 59
제1절 연구방법 및 조사대상 61
제2절 연구 결과 65

제5장 한국의 인구자질 77
제1절 인구자질의 지표 및 비교 국가 79
제2절 한국의 인구자질 현황 및 추이 83
제3절 OECD국가와 한국의 인구자질 현황 비교 112

제6장 제언 및 결론 139
제1절 초저출산·초고령사회의 인구자질 향상방안 141
제2절 결론 145

참고문헌 14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4-22-1-2
ISBN
978-89-6827-174-8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