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음주문제가 보건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대상의 음주대책은 여전히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이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음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는 점과 청소년 대상 주류판매규제가 허술하다는 점, 술에 허용적인 사회적 분위기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 대상의 음주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건강증진정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행동문제는 정신적, 심리사회적 요인과 많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정신건강증진적 차원의 접근도 하였다. 사실 청소년의 음주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법제도적 측면의 접근, 보건교육적 접근 등을 포함하여 지역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협력적인 노력과 사업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정책을 개발하고 실시하기 위해서 기반이 될 수 있는 인프라의 구축 또한 절실하다. 그리고 청소년음주문제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통계지표를 개발하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