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평가

제목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평가
저자

김동진윤강재정연채수미 ; 최지희 ; 배정은

키워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 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평가
발행연도
2019
발행기관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따라 5년마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2020년 제4차 종합계획(2016~2020) 종료 예정
- 제5차 종합계획(2021~2030)을 보다 체계적이고 실천 가능하도록 설계하기 위해 제3~4차 종합계획(2011~2020)의 최종평가가 선행될 필요
* 제5차 종합계획은 2021년 시행으로 2019년 하반기부터 수립 예정
□ 건강정책 우선순위 선정 등 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 가능한 평가 수행 필요
- 그 간 종합계획 평가는 주로 추진현황을 모니터하고 목표 달성도를 파악하는데 집중해 정책 우선순위 선정 등 정책 수립의 실질적 근거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 종합계획 평가 결과가 정책의 근거로 활용되고, 제5차 계획 수립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평가방향 및 내용 등 설정이 요구됨.
- 또한, 양적 달성도 평가 보다는 계획 수행과정, 추진 결과에 대한 질적인 부분에 주안점을 두어 제5차 계획 수립 및 추진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2장 기존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평가 11
제1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2003~2005) 중간평가 13
제2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2005~2010) 평가 17
제3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2011~2015) 중간평가 23
제4절 소결 32
제3장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평가 방향 및 평가 틀 37
제1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평가 방향 39
제2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평가 틀 50
제4장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총괄평가 55
제1절 총괄평가 개요 57
제2절 구조평가 62
제3절 과정평가 75
제4절 결과평가 97
제5절 소결 104
제5장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중점과제 평가 111
제1절 중점과제 평가 개요 113
제2절 금연 117
제3절 절주 144
제4절 영양 160
제5절 비만 177
제6절 심뇌혈관질환 192
제7절 정신보건 217
제8절 소결 231
제6장 결론 및 제언 245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요약 247
제2절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30 수립을 위한 제언 268
참고문헌 293
부록 297
부록 1. HP 2020 평가 조사표 297
부록 2. HP 관련 타 계획 현황 320
부록 3. 외국의 여성건강 지표 323
부록 4. HP 2020 과제별 사업 추진현황 334
부록 5. HP 2020 과제별 예산(집행)액 367
보고서 번호
정책보고서 2019-74
Fulltext
https://www.prism.go.kr/homepage/entire/researchDetail.do?researchId=1351000-202000328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