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미래 가족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정책 과제 = The Socioeconomic Impact of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on Family Structur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종서
dc.contributor.author이삼식
dc.contributor.author유삼현
dc.contributor.author전광희
dc.contributor.author염지혜
dc.contributor.author성명재
dc.contributor.author손일선
dc.contributor.author이희연
dc.contributor.author서지영
dc.contributor.author최효진
dc.contributor.authorNoriko Tsuya
dc.contributor.authorMarie-Thrse Letablie
dc.contributor.authorNorbert F. Schneider
dc.contributor.authorMaria M. Bellinger
dc.date.accessioned2018-03-13T17:30:10Z
dc.date.available2018-03-13T17:30:1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bn978896827467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0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학적 변화에 따른 미래 가구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가구 변화가 미래 사회 제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구 변화가 복지 욕구, 소득 불평등, 소비 행태, 지역 간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술 발전 및 지역사회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인구‧가족 및 관련 제 분야에서의 학술 연구에 기여하고, 미래 인구 및 가구 변동에 대응한 정책 수립 등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abstractWith its fertility rate falling from 6.0 in 1960 to 1.17 in 2016, Korea’s population is aging more rapidly than the population in other parts of the world. Such a dramatic demographic shift is likely to impact the structure of families in Korea in the coming years and bring about changes in its various socioeconomic spheres, an outlook deserving more research attention than it has received. This study, as a response to such need, looks at family-level structural changes that are likely to occur due to the ongoing demographic changes, and further examines what these changes may mean in the long-term in terms of welfare services, income inequality, urban-rural spatial structur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its findings, this study draw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1부 도입부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내용 15 제3절 연구 방법 18 제2장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틀 23 제1절 인구 변천과 가구의 변화 25 제2절 가구 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27 제3절 연구 분석틀 31 2부 미래 가구 변화 전망 제3장 저출산‧고령화 시나리오별 가구추계 및 분석 37 제1절 가구추계 방법 및 가정 39 제2절 장래 가구 변동 56 제3절 미래 가구 변동의 사회경제적 함의 107 제4장 제4차 산업혁명과 가구 변동 113 제1절 산업혁명과 가구 변동의 역사 116 제2절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가구 변동 122 3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가구 변화가 미래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 제5장 가구 변화와 돌봄 서비스 욕구 135 제1절 노인 가구 변화 138 제2절 노인 1인 가구의 돌봄 욕구 141 제3절 노인 1인 가구 증가 대비 돌봄 서비스 공급 방안 148 제6장 가구 변화와 소득 불균등도 153 제1절 배경 155 제2절 분석 자료와 분석 방법 161 제3절 실증 분석 171 제4절 인구 고령화에 따른 소득 불균등도 전망 196 제5절 소결 203 제7장 가구 변화와 소비․유통 205 제1절 배경 207 제2절 일본 사례 분석 208 제3절 한국과 일본 간 비교를 통한 시사점 도출 243 제8장 가구 변화와 도시‧농촌의 공간 구조 변화 249 제1절 미래 도시와 농촌의 가구 변화 특성 비교 253 제2절 가구의 변화가 도시‧농촌의 공간 구조에 미치는 영향 267 제3절 미래의 도시‧농촌 공간 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 295 제9장 고령화, 가구 변화, 기술 개발 이슈 309 제1절 배경 311 제2절 노인 가구 증가 관련 기술 개발 사례 314 제3절 연구개발 정책 동향과 향후 추진 방향 330 제4절 소결 349 제10장 미래 가구 변동에 대응한 파트너십 구축 357 제1절 필요성 359 제2절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국내외 사례 361 제3절 미래 가구 변동에 대응한 파트너십 구축 과제 366 4부 결론부 제11장 결론 377 제1절 미래 가구 변화 전망의 함의 379 제2절 가구 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381 제3절 향후 정책 방안 383 참고문헌 387 부록 401 1. 외국의 가족정책 사례 401 2.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가족 및 사회 변화에 관한 전문가 조사 4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미래 가족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정책 과제
dc.title.alternativeThe Socioeconomic Impact of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on Family Structur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미래 가구 변화
dc.subject.keyword사회경제적 영향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종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효진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7-1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7-15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