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지역사회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 발전방안 = Development of Strategy for Community-Based Adaptation to the Health Impact of Climate Chang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남순
dc.contributor.author정성희
dc.contributor.author채수미
dc.contributor.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uthor최지희
dc.contributor.author서성우
dc.date.accessioned2013-03-20T06:45:49Z
dc.date.available2013-03-20T06:45:4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bn978-89-8187-375-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9811
dc.description.abstract지역사회에서 수행할 수 있는 적응대책 발전을 위해서 서울과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건강문제 상관성을 파악하고, 보건사업 성과와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민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고, 또한 폭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지역사회 보건사업을 개발하였으며, 향후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발전방안을 제안
dc.description.abstractClimate change is a global public health problem.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projected that changes i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other weather variables due to climate change are likely to affect the health status of millions of people, particularly those with low adaptive capacity. We can better prepare to develop adaptive strategies in the community.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linkages between climate change and health risks in selected communiti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health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o develope the public health intervention, as well as to offer development strategy for community-based adaptation. We selected 12 urban and 10 rural communities in Korea. Changes in the risk of disease(ischemic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heat-related illness) were estimated to be increased by 1 °C based on a statistical test using a generalized additive model adjusted for non-temperature related factors: time trends, seasonality, and humidity. The research encompasses 7 year time-frame(2003-2009) of moderately warm months(May-September). Outcome of the research showed that relativ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heat-related illness were 1.041, 1.030, 1.122-1.139, respectively, thus, proved the strongest linkages in this context. No such concrete and distinctive features were observed for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in the rural areas. Furthermore, the research examined the linkage between performance of health adaptation and health risk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health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 estimates of health risk tend to be low in the community with high performance level(in terms of qualitative evaluation). Finally, we developed a public health intervention for those with hypertension during heat episodes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the program, self-efficacy in the ca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8). Knowledge score was 15.44(±2.03) for the case group and 11.10(±2.96) for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p Nowadays, the priority is still not high, but there are considerable interest about climate change and health. We are hoping that community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and the people's perception on the climate change and health from this research may serve as an effective reference to policy makers as well as experts committed to improve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미국의 지역사회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제1절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제2절 폭염에 대한 지역사회 건강적응대책 현황 제3절 곤충·설치류 매개 감염성 질환에 대한 지역사회 건강적응대책 현황 제4절 WHO의 교통부문 건강 상호 이익(health co-benefit) 전략 제3장 폭염의 건강영향 및 건강적응대책 현황 분석 제1절 폭염의 건강영향 및 건강적응대책 분석 방법 제2절 폭염의 건강영향 제3절 폭염의 건강적응대책 현황 제4절 폭염의 건강적응대책 수행정도 평가 제5절 폭염의 건강적응대책 효과 평가 제6절 소결 제4장 폭염의 건강적응대책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도 제1절 조사개요 제2절 조사결과 제3절 소결 제5장 곤충·설치류 매개 감염성 질환의 건강적응대책 현황 제1절 보건사업 현황 제2절 보건사업 운영에 대한 사업담당자의 인식도 제3절 소결 제6장 기후변화 건강적응을 위한 보건학적 중재 개발 제1절 폭염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의 건강영향 제2절 보건학적 중재 개발 및 적용 제3절 보건학적 중재의 적용 결과 제4절 폭염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보건학적 중재의 효과 제7장 지역사회 건강적응대책의 발전방안 및 결론 제1절 3개년 연구과제의 흐름 제2절 건강적응대책 발전방안 제3절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지역사회 폭염과 곤충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사업 실적 조사표 부록 2. 지역사회 폭염과 곤충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보건사업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도 조사표 부록 3. 지역주민의 폭염 및 보건 사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표 부록 4. 음악활동 주차별 내용 부록 5. 중재군과 대조군의 고혈압관리지식정도, 폭염대처지식정도, 스트레스반응 집단 간 사후 결과표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지역사회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 발전방안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Strategy for Community-Based Adaptation to the Health Impact of Climate Chang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기후변화
dc.subject.keyword건강적응대책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남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채수미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지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2-50-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2-50-1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dc.subject.kihasa건강증진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