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남북한 통합시 인구이동 전망과 대응과제 = A Projection of Migration Flows after South-North Korea Integration and Policy Measur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contributor.author조영태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ontributor.author신상수
dc.date.accessioned2013-03-19T05:55:47Z
dc.date.available2013-03-19T05:55:4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bn978-89-8187-989-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9783
dc.description.abstract- 북한의 인구이동 및 도시발전의 역사와 근황을 파악하고자 북한 인구이동의 배경이 될 수 있는 시장의 발전과 북한 당국의 도시발전 전략을 분석하고, 북한의 1993년과 2008년의 인구센서스 자료에 대한 인구학적 분석을 실시 - 남북한 통일 시 발생될 수 있는 인구이동 현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나타난 인구이동 현상과 그로 인한 사회적 파급효과들을 분석 - 남북한 통합 및 북한의 체제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구이동의 경향과 발생가능한 문제들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제들을 제시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ject migration flows of North Korean population after South-North Korea Integration or system transition of North Korea, and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igration. For the purposes, this study examines migration environments including development of market, urban development policy in North Korea, and analyzes current migration patterns taking particular focuses on migr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migration patterns and the social and demographic impacts after the reunific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which can be important evidences to forecast migration pattern in the Korea peninsular in the future. This study shows that rural population in North Korea is abnormally large reaching about 40% of the total population, and mega-cities development has been controlled by North Korean development principle of 'regional self-reliance system'. The urban development strategy generated the serious regional disparity and the less developed industrial integration at national level. And, the case study on Germany presents that the mass migration flow produced various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problems particularly in former East German areas. However, some of the problems has been normalized as the social integration and stabilization progres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ain policy issues on migration after South-North Integration or system transition of North Korea will be primarily focusing on reurbanization which means the rearrangement of population and industry in North Korean area. This study suggests various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table reurban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2장 북한의 사회변화와 인구이동 환경 제1절 북한 식량위기의 원인 제2절 시장 발생 과정 제3절 시장발생의 함의 제3장 북한의 도시정책과 도시 현황 제1절 북한의 도시발전 전략 제2절 북한의 도시 및 특구 현황 제3절 소결: 북한의 도시 발달 제4장 북한의 인구이동 제1절 북한의 인구이동 제2절 생잔율 분석 제3절 인구센서스 인구이동 자료 분석 제4절 소결: 북한의 최근 인구이동 제5장 독일통일 전후 동서 간 인구이동의 원인 및 함의 제1절 배경 제2절 통독 전후 인구 이동 경향과 특성 제3절 독일 인구이동의 주요 결정요인 제4절 이동이 초래한 문제들 제5절 소결: 독일 사례의 교훈 제6장 남북한 통합시 인구이동의 방향과 정책적 대응 제1절 남북으로의 인구유입 전망 제2절 북한 내 인구이동 제3절 북한의 인구이동 발생에 대한 정책과제 제4절 맺음말 참고문헌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남북한 통합시 인구이동 전망과 대응과제
dc.title.alternativeA Projection of Migration Flows after South-North Korea Integration and Policy Measur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남북한 통합
dc.subject.keyword인구이동
dc.subject.keyword재도시화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림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2-47-1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2-47-13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