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다문화가족의 변화와 사회적 대응방안 연구 = The Chan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유경
dc.contributor.author최현미
dc.contributor.author김가희
dc.contributor.author성수미
dc.date.accessioned2013-03-15T05:56:34Z
dc.date.available2013-03-15T05:56:3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bn978-89-8187-969-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9736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변화에 대비하여 새롭게 편입된 다문화가족의 특성 및 갈등요인을 파악하여 사회취약계층인 다문화가족이 건강하게 유지 발전되고, 전체 가족원이 원만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회통합적 정책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관련 정책환경의 특수성 및 변화를 진단함. - 다문화정책 현황 및 성과를 분석함. - 선진국의 정책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 - 새롭게 편입된 다문화가족의 특성, 갈등요인 및 정책욕구 등을 파악함. - 다문화가족 사회통합 관련 새로운 정책과제 및 추진체계를 도출함
dc.description.abstract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expected to increase by 31.1% over the next 8 years from 268,000 in 2012 to 351,000 in 2020. In proportion to the extension of average long-term resid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have been changes in many ways. With a dramatic increase in divorce due to the family conflict and domestic violence, separated multicultural families have steadily increased. In addition, marriage patterns have shifted from first marriage to remarriage.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the legal basis and a new turning point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t focused only on early settlement and adaptation of marriage immigrants. In reality, it has not been able to cover multicultural family life cycle changes and dynamic and various needs created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pecificity and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 and to explore a new multicultural policy reflecting them in order to establish policies to cover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in preparation for rapidly changing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pecificity and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 related to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t aims to elicit policy suggestio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achievement in the multicultural policies and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y examples of 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it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conflict factors and policy needs of newly integrated multicultural families. Finally, this study aims to deriv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soci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improve irrational and discriminative legal system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ept various multicultural families as a common family pattern and they can live lives without discrimination. The second is to strengthen family relationships of various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al adaptability. The third is to ensure the stability of various multicultural families. The fourth is to strengthen the family function in order to prevent poverty of separated various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nhance their health. Fifth, the service basis such as infrastructure improvement and network construc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fficiency of multicultural family services. Sixth, improvement of the social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motion of understanding should be prec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3절 연구의 한계점 제2장 다문화가족 변화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제1절 다문화가족 및 변화의 개념정립 제2절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제3장 다문화사회의 정책환경 특수성 및 변화분석 제1절 한국사회의 인구 및 경제적 특수성 제2절 다문화가족의 증가 및 이민자녀의 성장 제3절 다문화가족의 변화양상 및 갈등 제4장 국내외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법‧제도 비교분석 제1절 국내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법‧제도 제2절 국내 다문화정책 현황과 성과분석 제3절 국외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법‧제도 제4절 국내외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법‧제도의 시사점 제5장 다문화가족의 유형별 특성 및 문제점 진단 제1절 다문화가족의 유형별 특성 제2절 다문화가족의 유형별 갈등 및 문제점 제3절 해체 및 가족 재구성 실태 제4절 시사점 제6장 다문화가족의 복지수준 및 복지욕구 제1절 다문화가족의 유형별 복지수준 제2절 다문화가족의 유형별 서비스 이용수준 및 복지욕구 제3절 시사점 제7장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사회적 대응방안 제1절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정책 방향 제2절 다문화가족 변화 관련 사회적 대응방안 참고문헌 부 록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다문화가족의 변화와 사회적 대응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Chan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다문화가족 변화
dc.subject.keyword가족해체
dc.subject.keyword가족 재구성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유경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2-4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2-41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