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친서민정책으로서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전략Ⅱ: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를 중심으로 = Strategies for Increasing Social Service Jobs Ⅱ: focusing on Childcare and Afterschool Services

제목
친서민정책으로서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전략Ⅱ: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를 중심으로 = Strategies for Increasing Social Service Jobs Ⅱ: focusing on Childcare and Afterschool Services
저자

김미숙 ; 백선희 ; 이철선 ; 배화옥 ; 서문희 ; 이주연 ; 하태정

키워드
친서민정책 ; 사회서비스
발행연도
2012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전략 2차년도 사업으로서 사회서비스 분야 중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부문의 일자리 수요와 공급실태를 파악하고 이 분야의 일자리 확충 방안을 마련
이를 통해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가 확충되고, 양질의 일자리가 마련되는 정책기반을 마련
첫째, 영유아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관련 정책환경 특성 및 현황을 파악
둘째,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분야의 일자리 관련 선행논의를 고찰
셋째, 선진국의 정책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
넷째,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분야의 수요를 파악하되, 필요한 서비스 유형, 필요한 시간대, 전문인력 유형 등을 고찰
다섯째,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분야 일자리 규모 및 유형추계, 일자리 확충방안 마련

Child care and after-school services have an effect in investing human capital of the young generation, resulting in national wealth accumulation in a long run. The investment of human capital was a fundamental element in welfare reform of European countries where the sustainability of a society is believed to be achieved by it. In addition, since child care and after-school services opens much possibility in job creation, they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Korea has adopted the voucher system in child care services to satisfy the clients' needs of quality care. In other words, a market principle has penetrate to the services. In after-school services field, various services providers compete each other to secure the clients.
Under this circumstances, it is high time to detect whether this market supply of child care produces effective service supply and multiple service providers of after-school services guarantee quality services. Furthermore, we need to examine not only the size of the jobs that they can make, but also ways to expand good quality jobs.
The current study deals with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services, projects number of jobs that they can make and suggests ways to create decent jobs at the same time providing satisfactory services to the clients.
목차
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실태 및 일자리 현황
제1절 보육서비스분야 일자리 확충의 필요성
제2절 영유아돌봄서비스 범위와 내용
제3절 영유아돌봄서비스 제공기관과 인력배치 현황
제4절 보육서비스 인력 근로조건
제5절 방과후서비스 유형과 기능
제6절 방과후서비스 일자리 현황 및 수요
제3장 선진국의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정책 및 일자리 현황
제1절 독일
제2절 영국
제3절 네덜란드
제4장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이용실태
제1절 FGI 조사개요
제2절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이용실태 및 수요
제5장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종사자 근로여건 실태
제1절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실태조사 결과
제2절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FGI 결과
제6장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잠재적 일자리 실태
제1절 조사개요
제2절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분야 근로 의향자 조사 결과
제3절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분야 근로 비의향자 조사 결과
제4절 시사점
제7장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일자리 확충방안
제1절 영유아돌봄 및 방과후서비스 일자리 수요 추계
제2절 영유아돌봄서비스 일자리 확충방안
제3절 방과후서비스 일자리 확충방안
참고문헌
부 록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2-53
ISBN
978-89-8187-420-9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