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아동복지지출 실태 및 적정 아동복지지출규모 추계 = Child Welfare Expenditures and Optimal Child Welfare Expenditure Estimation

제목
아동복지지출 실태 및 적정 아동복지지출규모 추계 = Child Welfare Expenditures and Optimal Child Welfare Expenditure Estimation
저자

김미숙 ; 정익중 ; 이주연 ; 하태정

키워드
아동복지지출 실태 ; 적정아동복지지출
발행연도
2012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지출 수준과 추이를 분석하고, 선진국의 복지지출 동향과 규모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수준을 진단하고, 적정 아동복지지출 수준을
- 거시적 수준: 국가간 비교를 실시
- 중범위 수준: 우리나라 중앙과 지방의 아동복지지출 수준 비교
- 미시적 수준: 아동복지시설에서의 지출수준 고찰

This study aims to set the optimal level of child welfare expenditure. In order to determine that, it analyzes the present child welfare expenditure(and budget) of Korea in three different angles. First, in a Macro level, it compares the child welfare expenditure of Korea with that of other OECD economies to find current status of Korea and to establish plans for improvement. Secondly, in a Mezzo level, it examines the child welfare budget of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of Korea to figure out how balanced and how well-financed that is. Thirdly, in a Micro level, it analyzes the amount of expenditures among local child welfare facilities. As a result, three potential scenarios in delineating the optimal level of child welfare expenditures are presented. Other major findings are as below.
As it comparing to the level of OECD child welfare expenditure, that of Korea is significantly low. The child welfare expenditure of Korea is only one third that of the OECD average. Other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 welfare expenditure of Korea and that of other OECD economies are the type(cash or in-kind) of expenditure and the age(younger or older children)of the target group. In order to improve the spending structure,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total public expenditure on the child welfare policies, to expand the target groups as well as to adopt the cash benefits such as child benefits. In order to do so, the government should secure finances. Ways to finance the increased amount of expenditure is proposed, for example, by increasing taxes or by establishing the children's fund.
In addition, the study shows that current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budget structure unveils potential barriers to enhance the welfare of children since local governments suffer from the financial burdens for matching the transferred progra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ways to relieve those burdens.
Furthermore, it is proposed to improve wages, hours and working conditions of workers in child welfare institutions to secure the qualified work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s to children.
목차
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체계
제3절 연구방법
제4절 연구의 한계점
제2장 아동복지지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사회복지지출의 개념과 아동복지지출
제2절 아동복지지출의 규모와 문제점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아동복지지출 결정요인 선행연구
제3장 OECD 국가의 아동가족복지지출 실태
제1절 OECD 국가 아동가족복지지출수준 비교
제2절 OECD국가별 아동가족복지지출과 삶의 질 연관성
제3절 시사점
제4장 중앙과 지방정부의 아동복지지출 실태
제1절 중앙정부의 아동복지지출 수준
제2절 지방정부의 아동복지지출 수준 및 지출결정요인
제3절 시사점
제5장 아동복지시설 지출실태
제1절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급여 현황
제2절 공무원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급여체계 분석
제3절 아동복지시설과 공무원, 사회복지시설의 급여비교분석
제4절 요약 및 제언
제6장 아동복지지출에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
제1절 조사개요
제2절 전문가조사 주요결과
제7장 적정 아동복지지출 규모 추계
제1절 기본틀
제2절 시나리오별 아동복지지출 규모 추계
제8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2-39
ISBN
978-89-8187-967-9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