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복지지출수준에 따른 사회현상과 정책과제 =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enomena and Social Expenditure

제목
복지지출수준에 따른 사회현상과 정책과제 =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enomena and Social Expenditure
저자

고경환 ; 최영준 ; 주은선 ; 이정우 ; Theodores Papadopoulos ; 강지원

키워드
복지지출수준 ; 복지욕구 ; 재정제약
발행연도
2012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복지지출을 야기하는 사회현상들을 살펴보고, 재정위기에 복지국가의 대응전략들을 비교하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
- 복지레짐별 대표적인 국가를 선정하여 이들 국가의 복지지출과 사회현상간의 관계 고찰

Globalization increased global interdependence among countries, which needs global level approach and cooperation to solve not only global issues but also national policy issues. In addition, it is also required to review “policy transfer” theoretically and systematically, and the role of policy makers.
This paper compares two indicators, social condi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o find a optimal way to go the level of Kore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The results show that relationship of between public social expenditure and social condition is positive, and relationship of between public social expendi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is negative.
The comparison of two indicators reveals important findings. Among other thing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condition compared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larger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is tendency is particularly strong among the Sweden, German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cro-level policy of social redistribution is also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to micro-level policy of income redistribution. As we expe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Kore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s very low.
Also, Case Study was conducted concerning four countries(Sweden, Germany, UK, and Greece), representative nation of Esping-Andersen’s welfare regim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re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to improve Korean social welfare: First of all, the gap between predicted and actual expenditures should be closed to improve the minimum level of social welfare.
Secondly, the level of social condition itself should be improved to increase the public awareness of social welfare. Finally, the wide difference in expenditure between universal and selective social welfare programs should also be removed to decrease the relative deprivation of the poor.
목차
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OECD국가의 복지지출과 사회현상 분석
제1절 분석방법
제2절 분석결과
제3절 함의
제3장 스웨덴의 복지지출과 사회현상
제1절 국가 개요
제2절 보건의료
제3절 노령과 유족
제4절 고용
제5절 가족
제6절 공공부조 등 기타
제7절 한국에 주는 함의
제4장 독일의 복지지출과 사회현상
제1절 동‧서독일의 분단과 상이한 출발
제2절 독일의 사회 현상과 복지지출의 대응
제3절 한국에 주는 함의
제5장 영국의 복지지출과 사회현상
제1절 영국 복지국가의 전개와 유산
제2절 영국 사회복지정책 제도별 지출 분석
제3절 한국에 주는 함의
제6장 그리스의 복지지출과 사회현상
제1절 그리스 위기
제2절 그리스 위기에 대한 내부 및 구조적 측면 분석
제3절 긴축정책
제4절 재정위기와 사회환경 변화
제5절 한국에 주는 함의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2-21
ISBN
978-89-8187-949-5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