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손자녀 양육 참여 노인의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 지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Grandchild Rear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Elders’ Generativity and Family Suppor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윤주
dc.date.accessioned2012-07-09T04:29:06Z
dc.date.available2012-07-09T04:29:06Z
dc.date.issued2012-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86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손자녀를 돌보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의 내적 변인으로는 노인의 생성감을, 외적 환경의 영향 변인으로는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조부모의 양육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손자녀를 돌본 지 3개월 이상되는 60세 이상의 여성 노인 103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對 일 면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부모 양육 참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의 지지, 활동 만족도 수준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손자녀 양육 참여 노인의 생성감과 활동 만족도와의 관계, 손자녀 양육에 대한 가족의 지지와 활동 만족도와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 관계를 보였다. 셋째, 손자녀 양육 참여 노인의 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노인의 경제적 상태와 개인주의적 생성감, 가족의 도구적 지지와 금전적 지지였다.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으로 생성감 발현과 지지 제공의 중요성, 양육 활동의 가치 인정과 세대간 통합 기회로의 활용 등을 언급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 general trend of the elders’ generativity, family support and analyzing the variables which give effects to their satisfaction on grandchild rearing activities. Research subjects were 103 grandmothers those who were the custodial caregivers for at least one grandchild.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hroug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were firstly, agentic and communal generativity of the elderly were higher than median score. Furthermore,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by the family member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family support. Secondly, agentic generativ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grandmothers’ satisfaction in activities. Also, emotional, instrumental and material support showed the same tendencies. Finall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variables explaining the satisfaction of caring for grandchildren were the elder’s economic status and agentic generativity, instrumental and material support by family memb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dc.format.extent2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손자녀 양육 참여 노인의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 지지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Grandchild Rearing Activities: Focused on the Elders’ Generativity and Family Suppor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손자녀 양육
dc.subject.keyword노인의 생성감
dc.subject.keyword가족의 지지
dc.subject.keyword양육 활동 만족도
dc.subject.keywordGrandchild Rearing
dc.subject.keywordElder’s Generativity
dc.subject.keywordFamily Support
dc.subject.keywordActivity Satisfac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2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67
dc.citation.endPage29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267-29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 No.2, pp.267-294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