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Quality of Life in OECD Member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내찬
dc.date.accessioned2012-07-09T02:05:52Z
dc.date.available2012-07-09T02:05:52Z
dc.date.issued2012-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8623
dc.description.abstract본고에서는 삶의 질을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가 무엇인가를 이론과 해외 사례 측면에서 고찰한다. 또한 OECD의 ‘보다 나은 삶의 질 지표’(Better Life Index)를 일부 수정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회원국의 행복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를, 주성분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국가별 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고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OECD 국가의 행복을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두 요인은 안정된 삶과 소득분배의 공평성이었다. 전자는 소득과 고용률이 안정적인 국가일수록 국민들이 건강하고 사회자본이 확충되어 있으며 인생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후자는 소득분배가 공평하고 빈곤 가구 수가 적을수록 치안 상태도 양호하고 성차별도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도출한 가중치를 적용하면 우리나라의 행복지수 순위는, OECD의 BLI를 균등 가중평균 하였을 경우(22위)와도 큰 차이를 보이는 32위로 최하위 군에 속하며 따라서 성장과 분배 측면에서 국민의 행복을 제고하기 위한 정부의 고민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considers what constitutes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view of theories and overseas cases. It then analyzes main factors of happiness in OECD countries, and measures weights and rankings of member countries by apply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sub-indices, starting from OECD’s Better Life Index(BLI) with some portion of which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eo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stable living and fairness in income distribution are the foremost and second important factors, respectively, explaining happiness of OECD member countries. The former specifically implies that people in countries with stable household income and in economies with stable employment are healthier, living in pleasant dwellings, well-equipped with social capital, and enjoying happy life generally, while the latter is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countries with fairer distribution of wealth more likely have the lesser number of poor people and are surrounded by securer environment. Finally, it was derived that Korea ranked the 32nd, belonging to the lowest ranking group, compared with the rank of the 22nd in OECD’s BLI assessed with equal weights, which urgently call for government’s plans and actions to enhance happiness of people from a perspective of both growth and distribu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삶의 질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Ⅲ. 행복지수: 해외사례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3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tructure of Quality of Life in OECD Member Countr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행복지수
dc.subject.keyword안정된 삶
dc.subject.keyword소득분배의 공평성
dc.subject.keywordHappiness Index
dc.subject.keywordStable Living
dc.subject.keywordFairness of Income Distribu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2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5
dc.citation.endPage4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5-4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 No.2, pp.5-40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9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