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자살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정책적 대응방안 모색 = Socio-economic factors and policy implication of elderly suicid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소정
dc.contributor.author정경희
dc.contributor.author강은정
dc.contributor.author강상경
dc.contributor.author이수형
dc.contributor.author김영아
dc.date.accessioned2010-11-09T02:21:56Z
dc.date.available2010-11-09T02:21:5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isbn978-89-8187-623-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852
dc.description.abstract□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증가하는 고령 인구의 생산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노인정책의 중요한 화두로 부각되고 있음.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2004년부터 노인 일자리 창출 정책을 노인복지의 핵심정책으로 추진해 오고 있으며 2009년까지 30만개의 노인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삼고 있음. □ 노인 취업활동은 사회적 생산성의 측면 뿐만 아니라 노인 개인의 삶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 -경제적 측면에서 노인 개인의 소득을 보전해 주는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노후의 경제적 안정을 가져옴. -선행연구에 따르면 노후의 취업활동은 생산적 노화를 가져옴으로써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남(이지현 외, 2008; 홍현방, 2005). □ 그러나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은 현재까지 다소 ‘공급’의 측면에 치우친 면에 있으며 ‘수요’의 측면을 간과함. -이로 인해 정부에서 창출한 노인 일자리가 주로 단편적이고 비숙련노동을 요구하는 일자리에 국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뿐만 아니라 직업력, 소득의 측면에서 이질적인 배경을 가진 다양한 노인층을 흡수하지 못하고 있음. □ 따라서 노인 일자리 사업의 수요자인 노인의 입장에서, 다양한 노인층이 가지고 있는 취업활동에 대한 인식 및 욕구를 조사하고 이에 부합할 수 있는 고령인력 활용 정책의 개발이 필요함.
dc.description.abstractElderly suicide rate in Korea is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Such phenomenon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such as rapid aging, low level of elderly welfare policy, family transition and changes in traditional values. Before the year 2000, taking care of the elderly was regarded as the responsibility of family rather than the state. Thus, there was only a minute development in state support for the elderly. However, due to changes in societal environment, family culture and values, it became difficult to anticipate the family to play the expected role in taking care of the elderly. Despite the seriousness of elderly suicide, it was not a topic of interest in policy research due to several factors. First, public dispute on elderly suicide was regarded as opposing the traditional values and respect for the elderly. Second, official statistics on elderly suicide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ccumulated, thus making it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make empirical research into elderly suicide. Furthermore, a majority of research on elderly suicide until now has focused on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roblem of elderly suicide in Korea taking the viewpoint that suicide, as an act of individual can not only be explained by micro and psychological factors but also by the macro societal factors such as economic environment and institutional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사회 및 심리학적 관점 제2절 사회정신의학적 관점 제3절 논의점 - 한국적 상황을 중심으로 제3장 노인자살의 사회경제적 요인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노인자살의 원인조건 제3절 분석방법과 분석자료 제4절 노인자살률 유발의 사회경제적 원인 분석 제5절 노인자살률을 유발하지 않는 사회경제적 원인 분석 제6절 결론 제4장 노인자살의 미시적 요인 분석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 우울의 예측요인 연구제 제1절 서론 제2절 문헌연구 제3절 연구방법 제4절 결과 제5절 논의 : 우울증상에의 개입을 통한 자살예방에의 함의 제5장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국내 지역사회 인프라 현황 제1절 우리나라 자살예방정책 제2절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 제6장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 외국 사례 제1절 미국 제2절 영국 제3절 호주 제4절 뉴질랜드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1절 연구 결과 제2절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전략 제3절 노인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자살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정책적 대응방안 모색
dc.title.alternativeSocio-economic factors and policy implication of elderly suicid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수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경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09-34-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09-34-4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건강증진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8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