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에 대응한 육아지원 인프라의 양적ㆍ질적 적정화 방안 = Policy Recommendation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hildcare Infrastructure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제목
저출산에 대응한 육아지원 인프라의 양적ㆍ질적 적정화 방안 = Policy Recommendation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hildcare Infrastructure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저자

신윤정 ; 이지혜

발행연도
2009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우리나라 육아 지원 인프라의 양적·질적 수급 문제 진단
- 최근 우리나라 육아 지원 인프라의 확충 추이 및 문제점 분석
- 육아 지원 인프라 서비스 질적 수준 및 문제점 분석
- 육아 지원 인프라의 양적·질적 수급 불균형 원인 분석
□ 육아 지원 시설에 대한 정부의 규제 현황
- 정부의 육아 지원 시설에 대한 지원 현황 (인건비 지원, 시설 설비 지원 등)
- 정부의 육아 지원 시설에 대한 규제 현황 (보육비용, 시설기준, 인력기준 등)
□ 육아 지원 인프라에서의 정부 역할: 선진국의 사례
- 미국, 영국, 호주 등 민간 서비스 시장에서의 정부 역할
- 스웨덴, 프랑스 등 공공 육아 지원 시설에 대한 정부 역할
‘ 정부 규제가 육아 지원 시설 수급 불균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내외 대표적인 정부 실패 사례 검토
- 수급 불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 규제 유형별 분석
‘ 육아 지원 인프라 수급 정상화를 위한 정책 방안
- 보육 시장 기능 정상화를 위한 적절한 정부 지원 및 규제 방안 제시

The fertility rate in Korea has decreased dramatically since 1980's. Although there were lots of changes in Korean society causing low fertility in Korea, there is few social support helping these changes. This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explaining the low fertility rate in Korea. Child care system in Korea usually helps poor family rather than helps working mother or dual earner family. This study discusses availability and affordability of child care service in order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women's employment, and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compare the childcare service in Korea with the childcare service in European countries where fertility rate increase in recent day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policy on childcare service as follows; it solves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by reducing the burden of childcare of family, it helps the work and life balance and utilizes women's workforce in the aging society, and it contributes social integrity by rearing healthy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servies in quantity side are very similar with the European countries where the fertility rate is low. The compulsory education starts when child goes to elementary school in Korea. Korean family mostly uses informal childcare service rather than formal childcare service. Korean women uses longer childcare service than European women because Korean women hardly use part-time or flexible time in labor market.
There are quality control system in Korea but it is hard to control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with this quality control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reliable quality control system.
Korean government regulates the price of childcare service and support childcare cost for family. But many Korean families feel the cost of childcare service is expensive. The reason is that childcare facilities imposes extra charges besides the regular childcare program especially when child uses full time serv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Korean child care service should focus on solving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problem rather than just helping the poor family. The childcare policy should be conducted with labor market policy which enables women use parental leave. The childcare market structure should be improved for the government provide better childcare services. The policy on childcare allowance should be procced with concerns that it may have problem such as de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and gender inequality in labor market. It is very important to introduce the early child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the government should re-modeling the roles of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저출산에 대응한 육아지원 인프라의 정의
제3절 육아지원 인프라의 적정성 분석의 틀

제2장 저출산에 대응한 육아지원 인프라 정책의 목적
제1절 저출산 시대에서 육아지원정책의 목적
제2절 육아 지원 인프라 정책의 효과성
제3절 유럽 국가의 육아 지원 정책 목적 달성 현황
제4절 유럽 각국의 육아 지원 정책의 특징

제3장 육아 지원 인프라의 양적 적정성
제1절 육아 지원 인프라의 이용률
제2절 육아 지원 인프라의 공급과 수요
제3절 육아 지원 인프라의 지역적 분포
제4절 국내 육아 지원 인프라의 양적 적정성 논의

제4장 육아 지원 인프라의 질적 적정성
제1절 아동 정원 및 교사 대 아동 비율
제2절 보육 시설 종사자의 처우 및 자격 기준
제3절 서비스 질 평가 및 학부모의 관여
제4절 육아 지원 서비스에 대한 국가별 인식
제5절 국내 육아 지원 인프라의 질적 적정성

제5장 육아 지원 인프라의 비용 부담 적정성
제1절 육아 지원 서비스 비용 부담
제2절 육아 지원 인프라와 양육 수당
제3절 국내 육아 지원 인프라의 비용 부담 적정성

제6장 결론 및 정책 대안
제1절 연구 결과의 시사점
제2절 육아 지원 인프라 정책이 나아갈 방향성

참고문헌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09-34-2
ISBN
978-89-8187-621-0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