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경제∙사회 양극화의 현황과 대응 방안(3차년도) : 사회통합을 위한 고용·교육정책의 전략과 과제

제목
경제∙사회 양극화의 현황과 대응 방안(3차년도) : 사회통합을 위한 고용·교육정책의 전략과 과제
저자

전병유 ; 은수미 ; 이병희 ; 이일영 ; 정건화

발행연도
2009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한국 사회는 90년대 초중반 이후 개발의 시대를 끝내고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양극화와 사회적 배제가 심화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이미 외환위기 이전부터 많은 경제사회적 지표들이 불평등과 빈곤이 심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다. 외환위기는 여기에 비정규직과 근로빈곤의 문제를 악화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에 대해 다양한 정책적 대응이 이루어졌지만, 사회정책적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미숙한 정책 집행 능력, 정책제도들 사이의 정합성의 부재 등으로 불평등과 빈곤을 완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였다. 본 보고서는 기존의 사회정책들에 대한 평가·검토를 통해서 한국 사회의 조건과 환경에 가장 적합할 수 있는 사회정책의 대안들을 다시 모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보고서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격차와 불평등 문제가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노동과 교육 부문에서 격차와 이중구조화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노동시장에서의 이중구조화 문제’, ‘비정규직과 저소득 근로빈곤층의 확대’, ‘교육격차의 확대와 사회적 지위의 대물림에 따른 사회적 유동성의 저하’ 등을 우리나라의 노동시장과 교육에서의 핵심적인 문제로 보고 이에 대응하는 정책적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우리사회에서 노동시장에서의 격차와 단절은 1차 부문, 즉 내부노동시장의 축소와 2차 부문, 즉 외부노동시장의 팽창, 확대를 통해 강화되었다. 이는 노동시장의 하향 이중구조화라 부를 수 있다. 이는 정규직을 대체하는 비정규직 노동의 증가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고, 갈수록 상황이 열악해지고 있는 중소영세부문의 취약근로자와도 관련을 가진다. 부나 소득불평등의 주요한 원인이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노동시장의 한편에 보호되고 안정된 고용조건을 향유하는 소수의 내부자들이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빈곤과 불안정 취업, 저소득과 물질적, 심리적 좌절을 겪는 다수의 사회적 패자들이 구조적으로 양산되고 있다.

The Korean society has been moving towards polarization and social exclusion since mid 1990s. Many statistical data show that inequality, differentials and poverty have increased since then. Particularly,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aggravated them by causing problems of non-regular jobs and working poor. Although many policy responses were introduced for the last decade, they were not so effective.
This study is supposed to search for appropriate policy alternative in terms of our policy environments and conditions to reduce the inequality and poverty. It will deal with the differentials and segmentation in the realm of labor market and education. We think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s are the segmentation of labor market, the expansion of non-regular jobs and working poor, the enlargement of educational differentials, reduction of social mobility, and passing down of social status to next generation. We would like to come up with policy paradigm to alleviate such problems.
Chapter II deals with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problem in Korea, which is the main cause of inequality and poverty. Many Korean scholars and policy makers think enhancing flexicurity of labor market as the policy alternative. Flexibility is needed to increase competitiveness on the one hand, social security system should be added to compensate for the insecurity following the flex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policy responses based on these thoughts, however, did not succeed in enhancing flexibility and security at the same time. The policy priority has been in enhancing flexibility rather than establishing security system. The social security system has also been focused on employment service and job training. The policies to enhance flexibility were not successful because they only reinforced labor market segmentation not being connected to increasing competitivenes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y did not succeed in making changes and compromises in industrial relations and creating functional flexibility. If the flexicurity model succeed, the core behavioral agents such as managements and trade unions should have the trust that the flexicurity would incur mutual benefits. It will be possible only if they accumulate experiences of cooperations with trial and error. The government should environments and conditions for the social compromise by strategic exchange of the interests of behavioral agents and confirms the benefits and costs of policies.
Chapter III reviews the non-regular job problem in terms of labor politics as it is political and social one as well as economic one. It indicates the limits of non-regular worker laws in terms of labor politics. While the labor have been focused on the laws, they have missed such agenda as social security system and labor market reform. As the labor organization did not cover the whole workers including non-regular and SME workers, its political power is not so strong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vulnerable worker and to induce the agreement of civil society.
In Chapter III, equal-work and equal pay, particularly in the public sector, regulations on the indirect employment relations, and unemployment allowances are also presented as an additional policy responses to the existing policies for non-regular workers.
Chapter IV examines employment security net to protect working poor. The working poor who faces job loss and poverty, is the core problem showing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and social security system in Korea. The social security system, which has been developing for the last ten years, could not contain the increase of working poor. The employment security system should aim to reduce the blind sector of policy between employment insurance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he combination of activation policies and income guarantee are necessary for the people in the blind sector such as small self-employers, newly entering people in labor market, and unemployment with termination of employment insurance
Chanter V presents a model of education reform to respond to the increasing educational differentials. In Korea, the 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failure are now occurring at the same time in the education system. On the one hand, the expansion of private education incur educational gap and over-competition, on the other hand, the bureaucratic control of education deter the performance of public education system. As there are market oriented prescriptions and state-lead ones to these problems, both are not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s one solution, we can focus on the local governance. The construction of governance structure between university-secondary school-industry might be one solution of our educational problems at the local level, which will not only prompt local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bureaucratic control of education.
목차
제1장 사회통합을 위한 고용‧교육정책: 문제제기

제2장 노동시장 이중구조화에 대한 대응전략과 과제
제1절 서론
제2절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개념과 원인
제3절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를 위한 정책: 의의와 한계
제4절 노동시장 이중구조화의 제도경제학적 해석
제5절 새로운 전략의 방향과 과제
제6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3장 비정규 노동과 일자리: 노동정치를 통한 접근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한국의 비정규 노동
제3절 비정규입법과 노동정치
제4절 새로운 일자리 모델
제5절 결론
참고문헌

제4장 근로빈곤의 예방‧완화를 위한 고용안전망 확충 방안 모색
제1절 머리말
제2절 근로빈곤의 규모와 특성
제3절 고용안전망의 실태 및 주요 쟁점
제4절 근로빈곤의 예방․완화를 위한 고용안전망 확충 방안
참고문헌

제5장 격차에 대응하는 교육개혁: ‘지역’의 관점에 입각한
개혁모델 시론
제1절 문제제기: 교육 격차와 시장․국가
제2절 교육 발전에 있어서 지역의 중요성
제3절 국내 지역과 교육의 혼합
제4절 국제 지역과 교육의 혼합
제5절 학문 간 혼합과 자유교양운동
제6절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보고서 번호
협동연구 2009-01-03
ISBN
978-89-8187-630-2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