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복지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of the Social Expenditures

제목
사회복지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of the Social Expenditures
저자

남상호

발행연도
2009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최근 사회복지지출 수요의 급증으로 인하여 사회복지지출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좀 더 엄밀한 미시경제이론에 토대를 둔 계량적분석의 필요성이 절실함

⧠ 사회회계행렬(Social Accounting Matrix, SAM)은 일반균형이론적인 관점에서 경제 구조 전반에 걸친 소득과 지출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는 모형임
○ 본 연구에서 작성된 SAM 모형은 사회복지지출이 가계부문에 미치는 소득의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구조로 모형을 구축하였음
- 산업연관표에서 ‘교육 및 보건’ 항목을 세분화하여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사회복지지출로 정의하였음
- 정책의 대상이 되는 가계를 파악하기 위해 소득을 기준으로 총 30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모형에 반영하였음
○ SAM 모형은 경제 구조 전반을 고려한 효율성 평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으며, 특히 CGE(Computable General Equilibium) 모형의 database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도 그 활용가치가 높음

Rapid increase in social expenditures brought again our attention to the effectiveness of the anti-poverty policy. In order to have good policy recommendations we need to have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on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social expenditure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ocial expenditure on the income generation and income redistribution in Korea.
The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is used to test in what way, and to what extent, social expenditure has effect on the country's macro-economy. SAM is an useful tool for the income-expenditure stream of the economy in the sense that it can incorporate the general equilibrium framework. The SAM is a framework for organizing information about income, expenditure and financial flows in the economy. In this paper social expenditures are treated as exogenous in analyzing income generation and income redistribution effects.
SAM can be used to analyz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economy, and it can be used as a databas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GE model of the Korean economy.
In this study, SAM2006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income generating effect of the social expenditures on the household sector can be analysed in the model. The household sectors are divided into 30 subgroups so that we can classify policy target groups in a detailed way.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mponent of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s comparatively large effects on the other sectors of the Korean economy. Among those, social welfare expenditure shows larger income effects especially for the higher income classes.
While keeping the budget constraint, either the expansion of the coverage or increase the benefits of the Basic Livelihood Protection System might not be so effective in eliminating relative income inequality in Korea.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social enterprises might be useful instruments for the self-support of the poor.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방법
제3절 기존연구의 요약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제2장 사회회계행렬의 구축
제1절 사회회계행렬의 정의
제2절 사회회계행렬의 구축 자료 및 작성과정
제3절 사회회계행렬의 세분화
제4절 사회회계행렬의 balancing

제3장 승수효과 분석
제1절 승수효과
제2절 전후방연쇄 효과

제4장 정부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제1절 정부지출 항목별 총소득효과
제2절 정부부문 전체 외생소득의 가계부문에 대한 총소득효과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산업연관표 항목의 정의
부록 2. 가계의 소득계층별 소득 및 지출 점유율
부록 3. 상품부문이 가계부문에 미치는 총소득효과
부록 4. SAM2006 multiplier matrix

색 인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09-26-4
ISBN
978-89-8187-604-3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