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다문화가족아동의 사회적응실태 및 아동복지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 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 Welfare Service Provis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미숙
dc.contributor.author김유경
dc.contributor.author김안나
dc.contributor.author김효진
dc.contributor.author성수미
dc.date.accessioned2012-01-19T08:19:01Z
dc.date.available2012-01-19T08:19:0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isbn978-89-8187-803-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783
dc.description.abstract◈ 다문화가족 아동의 개념 및 사회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국내외 다문화가족 아동 지원정책 고찰 ◈ 다문화가족 아동 사회적응 실태 ◈ 다문화가족 아동복지서비스 지원방안련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tural families. Social adjustment is divided into four areas, namely psychological adjustment, familia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and cultural adjustment. Face-to-face survey is conducted to 386 children from multicutural families, their 334 mothers, and 410 Korean children all of whose grades are from 3rd grade to 10th grade. Social workers from children from multicutural families are interviewed to detect the limitations of current policies and to devise future policy measures. In respect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levels of self-esteem and familial suppor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e are lower than those of their Korean counterparts.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was significant. The familial suppor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tural families is fluctuated according to their father's education and their mother's country of origin. The lower their father's education is, the smaller the support from their family. In terms of familial adjustment, families of the multicutural background suffer from child care, as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mothers is as high as 72%. There is a big gap in education between parents, which also can cause family conflict. Even though the degress of mother-child intimacy i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point, much more time needs to be spent for family leisure activities to boost their intimacy and communic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The family cohesion level of multiculture families is slightly over the mid-point and that of mothers is higher than that of their children. At school, the adjustment level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a little lower than that of their Korean school-mates. In particular, their class adjustment scores are lower than those of Korean children. They are less likely to satisfy with their school lives and have more difficulties in studying. In community, they are better adjusted to the Korean culture than their mother country culture, and the adjustment scores of the two cultures are much higher than the cutting point. Meanwhile, Korean children reveal high openness toward other cultures and low closed mindedness in accepting other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23 제1절 연구 필요성과 목적 23 제2절 연구내용 24 제3절 연구방법 및 연구의 흐름도 26 제4절 실태조사 개요 27 제2장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응에 대한 이론적 고찰 33 제1절 다문화가족 아동 및 사회적응의 개념 33 제2절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응 이론 37 제3절 선행연구 고찰 44 제4절 연구분석틀 60 제3장 국내외 다문화가족 아동지원정책 고찰 63 제1절 다문화가족 아동현황 및 추이 63 제2절 국내 지원정책 현황 및 문제점 69 제3절 독일의 다문화지원정책 78 제4절 일본의 다문화지원정책 101 제5절 외국사례의 시사점 114 제4장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심리적응 실태 119 제1절 다문화가족 아동의 일반 특성 119 제2절 다문화가족 아동 정서실태 127 제3절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 지지 실태 136 제4절 다문화가족 아동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5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147 제5장 다문화가족 아동의 가족생활적응 실태 153 제1절 가족의 양육환경 153 제2절 부모자녀관계 180 제3절 가족응집력 및 가족갈등 188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201 제6장 다문화가족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실태 207 제1절 학교생활 적응 정도 207 제2절 학교생활 전반 218 제3절 학교생활의 어려움 221 제4절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4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226 제7장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실태 231 제1절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 정도 231 제2절 다문화가족 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 236 제3절 일반아동의 다문화개방 정도 241 제4절 다문화 적응 및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9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255 제8장 다문화가족 아동의 복지욕구 실태 259 제1절 다문화가족 아동의 복지욕구실태 비교 259 제2절 결혼이주여성의 복지욕구 265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71 제9장 기관실무자 FGI 결과 275 제1절 조사개요 275 제2절 조사결과 276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96 제10장 결론 및 정책제언 301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301 제2절 정책제언 307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322 참고문헌 323 부 록: 조사표 337 부록 1. 2011년 다문화부모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39 부록 2. 2011년 사회적응실태 및 복지욕구조사(다문화아동) 347 부록 3. 2011년 사회적응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일반아동) 355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다문화가족아동의 사회적응실태 및 아동복지서비스 지원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 Welfare Service Provis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다문화가족 아동
dc.subject.keyword사회적응실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유경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1-2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1-27
dc.subject.kihasa가족변화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