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건강도시산업의 건강영향평가 및 기술지원 =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Capacity Building in Healthy Cities in Korea

제목
건강도시산업의 건강영향평가 및 기술지원 =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Capacity Building in Healthy Cities in Korea
저자

김동진 ; 서미경 ; 채희란 ; 백소혜 ; 김성렬

키워드
건강도시산업 ; 건강영향평가
발행연도
201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지자체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는 2009년 3개 지자체(서울 강남구, 경기 광명시, 경남 창원시)에 대해 5개 사업으로 시작하여 2010년에는 4개지자체(서울 강남구, 경기 시흥시, 광주광역시, 경남 진주시) 6개 사업에 대해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하였음.
◈ 2009년, 2010년 건강영향평가 사업은 건강도시협의회 소속 건강도시들로부터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 중 건강영향평가가 필요한 사업을 공모하여 사업을 실시하여 왔음.
◈ 따라서, 2011년 사업의 경우 건강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실시하되, 사업분야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선정하도록 하고, 건강영향평가 유형도 간이(rapid) 건강영향평가 평가보다는 중간(intermediate) 혹은 포괄적(comprehensive) 평가 위주로 함.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is a combination of a procedure, methods, and tools that make it possible to systematically assess the potential health impacts of a policy, a plan, or a program and their distribution in the population.
The purpose of HIA is to maximize the expecting positive health impacts and minimize the negative health impacts. The basic values that HIA pursues include democracy, equity, sustainable development, ethical usage of evidence, and comprehensive approach to health.
In 2011 project, we targeted Healthy Cities as the entry point of HIA implementation. Cities in general as well as Healthy Cities may affect more health determinants than the central government does. This means that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policies, projects, or plans that may be subject to HIA and therefore implementing HIA at local governments including Healthy Cities can be effective.
Healthy Cities and HIA are the same in that both seek 'healthy public policy'. HIA in Healthy Cities can be a systematic framework that makes policy makers such as politicians and administrators conside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residents when they are developing a policy, a program, or a project.
The purpose of the 2011 HIA project is twofold: implementing HIA about the programs of Healthy Cit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 The project was consisted of four areas to achieve the purposes: Gwangmyeong city HIA project, Muju county HIA project, Jangsu county HIA project, and Ministry of E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IA project.
목차
Abstract 1

요약 3

1부 서 론 9

2부 광명시 실천하는 금연터 사업 건강영향평가 21
제1장 건강영향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23
제2장 건강영향평가 절차 및 방법 27
제3장 건강영향평가 결과 31
제4장 소결 119

3부 장수군 산서매립지 정비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145
제1장 건강영향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147
제2장 건강영향평가 절차 및 방법 155
제3장 건강영향평가 결과 161
제4장 소결 215

4부 무주군 종합정비계획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229
제1장 건강영향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231
제2장 건강영향평가 절차 및 방법 251
제3장 건강영향평가 결과 255
제4장 소결 287

5부 연중돌봄학교의 건강영향평가 291
제1장 건강영향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293
제2장 건강영향평가 절차 및 방법 311
제3장 건강영향평가 결과 313
제4장 소결 361

6부 결론 및 정책 제언 367

참고문헌 37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1-39-2
ISBN
978-89-8187-836-8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보건의료 > 건강친화적 환경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