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건강영향평가의 제도화 방안 연구 = Institutionalizing The Health Impact Assessments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영
dc.contributor.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uthor김어지나
dc.contributor.author신정훈
dc.date.accessioned2012-01-17T02:01:57Z
dc.date.available2012-01-17T02:01:5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isbn978-89-8187-835-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751
dc.description.abstract◈ 건강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실행할 수 있음. ◈ 사회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을 통해 국민 건강증진을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달성함. ◈ 건강영향평가제도의 기반이 되는 법령 제정에 반영함. ◈ 건강영향평가를 통하여 기존 제도를 개선하는 데 반영함. ◈ 향후 건강영향평가 관련 여러 분야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데 활용함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effective measures to introduce health impact assessments for various social policies in Korea. The Health impact assessment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framework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But based on WHO's "Healthy public policy" or "Health in All policies",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the health impact assessments should be implemented in all social policy areas in order to meet people's demand for a healthier life. This research conducted a sample survey for 1,000 people aged over 19 years, and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more than 80 percent of the interviewees agreed that health impact assessment should be extended to social policies, and the results of the heath impact assessments should be exposed to the public in an efficient way.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overall directions in introducing health impact assessments in social policies, and develop various levels of the assessments according to the limitations of re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olicies assessed. Also, this research develops methodologies for the assessments, and motivations to encourage policy makers at central and local levels to conduct the health impact assessments for their policies. This research lays out several alternative schemes for the legislation of the health impact assessments for social poli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3 제2절 연구목적 18 제3절 연구방법 18 제2장 현행 건강영향평가의 현행과 문제점 23 제1절 현 황 23 제2절 문제점 37 제3장 포괄적 건강영향평가제도 도입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43 제1절 조사개요 44 제2절 주요 조사결과 49 제3절 조사결과의 시사점 67 제4장 포괄적 건강영향평가제도 도입방안 71 제1절 제도 도입의 기본방향 72 제2절 평가대상 정책 및 평가의 종류 75 제3절 평가체계 및 절차 90 제4절 평가방법 118 제5절 건강영향평가에 대한 동기부여 136 제6절 환경영향평가와의 관계 설정 138 제7절 건강영향평가 재원조달 139 제8절 평가결과의 활용 141 제9절 평가의 법적 근거 141 제5장 결 론 149 참고문헌 153 부 록 159 부록 1. 스코핑 매트릭스의 사례: 사업내용별 건강결정요인 분석 159 부록 2. 발암성 물질의 발암위해도 결과표(예시) 160 부록 3. 소각시 배출되는 중금속의 호흡노출로 인한 위해성 평가(예시) 161 부록 4. 환경보건 관련법규 162 부록 5. 성별영향평가 관련법규 167 부록 6. 건강영향평가 제도 도입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168 부록 7. 일부 외국의 건강영향평가 사례 172 부록 8. 유럽정책 건강영향평가(EPHIA) 가이드 176 부록 9. 호주 건강영향평가 법률제정과 행정체제 209 부록 10. 영국 Luton Borough Council의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건강영향평가 간편 가이드 305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건강영향평가의 제도화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Institutionalizing The Health Impact Assessments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건강영향평가
dc.subject.keyword제도화 방안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영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1-39-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1-39-1
dc.subject.kihasa건강증진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