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대책 관련 국제동향분석: 스페인·폴란드편 =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Fertility Changes for Spain and Poland

제목
저출산대책 관련 국제동향분석: 스페인·폴란드편 =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Fertility Changes for Spain and Poland
저자

이삼식 ; 박종서 ; 배다영

키워드
저출산대책 ; 국제동향분석
발행연도
201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저출산 관련 국내·외 현황 및 경제·사회적 영향 분석
○ 인구구조의 변동 추이 및 가족·노동형태변화, 변동의 경제·사회적 주요 요인 분석 및 정책적 함의 도출
□ 그간의 저출산 대응방향 재검토
○ 그간의 저출산 대책 및 그 추진성과에 대한 개괄적 평가
○ 저출산 대책의 세계적 흐름과 미국, 유럽 및 일본 등 주요 외국의 정책적 대응 사례와 효과 분석
□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
○ “저출산”이라는 결과적 현상에 대한 단기적 처방을 넘어서서, 인구구조의 변화속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경제·사회적 대응전략 제시
- 인구정책의 비전 및 전략 제시, 정부역할 및 추진체계, 기업과 개인의 역할 및 역할수행 유인방안, 인구정책 관련 재원 운용 전략 등
- 특히, 정부를 포함한 개인과 기업 등 사회전체가 참여하고 변화를 모색할 수 있는 대응방안 포함
□ 특히 서유럽 중에서 인구정책 전환을 통하여 최근에 출산율 회복의 효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독일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 도출
○ 독일은 2007년과 2008년 부모수당(Eltergeld)과 부모시간(Elternzeit)제도를 시행한 이후 출산율이 1.37, 1.38로 회복세로 전환하는 추세를 나타냄
○ 독일의 최근 정책변화는 북유럽식 사민주의정책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
○ 독일 사례에 대한 심층사례분석과 자료수집을 통하여 정책적시사점 도출
□ 또한 다문화사회의 전형을 나타내는 호주사례 심층분석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정책으로 이민정책의 효과를 진단
○ 호주는 2001년 1.73 수준의 출산율을 나타냈으나 최근 2000년대 후반들어 1.92 수준의 높은 상승세를 나타냄
○ 호주는 일반적으로 다문화사회를 대표하며 인종통합을 유기적으로 이룬 국가로서 이와 같은 문화적 배경과 출산율 수준과의 관계를 심층분석 할 필요가 있음
○ 해외출장을 통하여 현지 사례조사와 자료수집을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 도출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mechanism that the fertility level has been changing in association with history, politics, economy, socio-culture and policies in Spain and Poland. For this structural analysis,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directly by visiting ministrie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in Spain and Pol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in Spain and in Poland, the increase in educational attainment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the females has rendered i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and fertility rate through increasing the opportunity cost in labor market. Such a delayed negative association in two rates has been attributable to two factors, continuation of traditional single earner's model and insufficiency of polices for compatibility between work and family. To reverse such relationship betwee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and fertility rate, modification of females' dual role and strengthening of polices for balancing between work and family at the same time should be made.
Secondly, change into democratic system and capitalist economy of two countries has been coincided by the higher education level and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which has resulted in increase in late marriage and low fertility in the absence of public policies for creating jobs, extending rental house, etc. Thus, macro level of policies should be needed to check the late marriage.
Thirdly, the traditional culture has a role in suppressing the increase of extramarital births in Spain and Poland. Any discrimination on families outside legal marriage should be abolished institutionally and extramarital child-rearing needs to be protected.
Fourthly, family policies in Spain and Poland have big dead zone due to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 Dead zone is on selective support by mean-tests and exclusion of self-employers. Minimizing dead zone and linking between policies need to be strengthened.
Last but not least, the mechanism of associating between low fertility and social structure in Spain and Poland seems to applicable to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guideline for accommodating solid strategies to overcome the current low fertility trends in Korea.
목차
Abstract 1

요 약 3

1부 서론 11
1. 연구배경 및 목적 11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2

2부 스페인 편 17
1. 스페인 출산율 변동 17
2. 스페인 사회환경 19
3. 스페인 인구현상 34
4. 스페인 출산관련 정책 42
5. 스페인 출산율 변동의 인과구조 61

3부 폴란드 편 77
1. 폴란드 출산율 변동 77
2. 폴란드 사회환경 81
3. 폴란드 인구현상 93
4. 폴란드 출산관련 정책 100
5. 폴란드 출산율 변동의 인과구조 116

4부 결론 127

참고문헌 13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1-37-16
ISBN
978-89-8187-828-3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