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에 대한 만혼의 영향과 정책과제 = A Study on The Effect of Late Marriage on Low Fertility in Korea

제목
저출산에 대한 만혼의 영향과 정책과제 = A Study on The Effect of Late Marriage on Low Fertility in Korea
저자

김태홍 ; 김동식 ; 김은지 ; 배호중 ; 민현주

키워드
만혼과 출산 ; 건강의 연관성
발행연도
201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만혼’ 정의
- ‘만혼’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지만 합의된 정의가 없음.
- 따라서 본 연구는 의식 조사를 통해 ‘만혼’을 정의하기로 함.
◈ 경제학적 관점에서 만혼화 원인 분석
- 노동시장에 대한 기회비용
- 부모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와 결혼행태
- 사회규범 변화
- 소득과 결혼행태
◈ 만혼화 원인 분석 후 만혼화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규명

The total fertility rate in Korea fell from the replacement level of 2.1 children per women in 1984 to 1.22 in 2010. This rapid fertility transition reflected changing economic and social circumstances, marriage behaviour, and family life. In recent, young people are waiting later to marry, couples are having fewer children, and more married women are working in labour market. Lower marital fertility is related closely to later marriage and greater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the labor force.
In most countries, the effect of marriage delay on the fertility decline is largely being offset by increasing cohabitation. However, childbearing outside marriage in Korea is very low, constituting about 2.0% of births in 2009. Thus late marriage affects directly marital fertility in Korea.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are also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both age at marriage and fertility.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 toward late marriage and less marriage due to a confluence interrelate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cluding remarkable educational gains by women in Korea. The first part of the study reviews the trend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and analyzes inter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employment using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econd part estimates the determinants of first marriage age.
The third part analyzes the effect of late marriage on the birth of her first baby and birth interval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fourth part analyzes relationship between women's late marriage and health-related outcomes and the last part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Ⅰ. 서 론 11
1. 연구배경 및 목적 11
2. 연구내용 및 방법 15

Ⅱ. 결혼 및 출산 현황과 특징 23
1. 결혼 현황과 특징 23
2. 출산 현황과 특징 40
3. 취업과 결혼 관계 분석 50

Ⅲ. 결혼시기에 대한 분석 69
1. 저출산과 결혼시기 69
2. 결혼시기에 대한 기술적 분석 73
3. 결혼시기에 대한 코호트 분석 81

Ⅳ. 만혼이 출산이행에 미치는 영향 95
1. 만혼과 출산이행 95
2. 만혼이 출산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방법 102
3. 만혼이 출산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105

Ⅴ. 만혼과 출산 및 건강상태 123
1. 만혼과 출산 및 건강의 연관성 123
2. 결혼연령 및 출산연령과 출산결과 131
3. 결혼연령 및 자녀유무와 주관적 건강상태 153

Ⅵ. 요약 및 정책제언 163

참고문헌 17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1-37-2
ISBN
978-89-8187-814-6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8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