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패널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저소득층 양적 & 질적 연계 패널조사- = Establishing Qualitative Panel Data on Low-income Households in Complementation to KOWEP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현수
dc.contributor.author정혜숙
dc.contributor.author권지성
dc.contributor.author이은미
dc.contributor.author정선욱
dc.contributor.author조준용
dc.contributor.author하경희
dc.contributor.author유진영
dc.contributor.author정희선
dc.contributor.author고지영
dc.date.accessioned2012-01-16T07:55:38Z
dc.date.available2012-01-16T07:55:3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isbn978-89-8187-797-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706
dc.description.abstract◈ 양적ㆍ질적 패널 구축을 위한 외국사례 및 문헌 검토 ◈ 기초생활보장 역동성 평가를 위한 양적ㆍ질적 패널 구축 ◈ 연속과제로서 2011년에는 패널구축 및 계획수립, 질문지 및 조사분석틀 구축에 중점을 두어 기초연구를 수행하며, 제1차 양적/질적 패널조사 실시하여 기초분석보고서 작성
dc.description.abstractAgainst the backdrop of increasing interest in the daily living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of low-income groups,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qualitative data on the welfare entry-exit dynamics and related issues of low-income households. The authors here introduce a mixed approach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examin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qualitative panel data which would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poverty dynamics, everyday experiences and inter-familial relationships of low-income households. This study then establishes qualitative panel data on low-income group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a sample of 100 households, culled in a way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ally varying subject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bout their employment, welfare transitory dynamics, interfamili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The authors also present suggestions as to how in combination with quantitative data, the qualitative approach can better contribute to both academic and policy develop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부 양적 & 질적 연구방법론 연계: 혼합 연구방법론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제2절 주요 연구내용 구성 및 연구방법 26 제2장 양적 & 질적 연계 패널구축 관련 혼합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검토 35 제1절 양적 & 질적 연계 혼합 연구방법론 관련 이론 및 동향 36 제2절 빈곤 역동성 측면에서 양적 & 질적 연계 패널 구축의 필요성과 의의 50 제2부 양적 패널조사 자료구축 및 기초분석 제3장 저소득층 양적 패널조사 표본추출 및 가구특성 69 제1절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 표본추출 69 제2절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의 특성 분석 71 제4장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의 심리 동향지수 분석 ­경제상황 및 복지수준 인식과 전망­ 83 제1절 조사자료 및 분석방법 83 제2절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의 경제상황 및 복지수준 인식과 전망 분석결과 88 제3부 질적 패널조사 자료구축 및 기초분석 제5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표본추출 및 가구특성 103 제1절 저소득층 질적 패널가구 표본추출 103 제2절 저소득층 질적 패널가구의 특성 분석 104 제6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자료수집과정 분석 119 제1절 질적 패널자료 수집과정 120 제2절 질적 패널자료 수집방법 121 제3절 질적 패널자료 분석방법 134 제4절 질적 패널조사 수행 및 자료 활용 시 윤리적 고려 135 제7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결과 기초분석Ⅰ: 일과 빈곤, 탈수급 139 제1절 근로 139 제2절 빈곤, 탈수급 관련 역학적 특성 144 제8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결과 기초분석Ⅱ: 가족관계 및 정신건강 165 제1절 가족 165 제2절 생활습관, 가족관계 및 정신건강 169 제3절 생활실태 만족 및 의식 208 제9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결과 기초분석 Ⅲ: 가족구성원별 조사 229 제1절 여성 229 제2절 아동/청소년 238 제3절 청소년(중?고등학생) 246 제4절 노인 264 제5절 장애인 276 제4부 양적 & 질적 연계 패널구축 및 활용방안 제10장 양적 & 질적 연계 패널자료 구축계획 및 활용방안 299 부록 317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패널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저소득층 양적 & 질적 연계 패널조사-
dc.title.alternativeEstablishing Qualitative Panel Data on Low-income Households in Complementation to KOWEP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한국복지패널 연계
dc.subject.keyword질적패널 구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현수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1-2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1-21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dc.subject.kihasa공공부조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소득보장 > 공공부조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