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측정도구 개발연구 = Development of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현경자
dc.contributor.author김연수
dc.date.accessioned2012-01-02T05:40:50Z
dc.date.available2012-01-02T05:40:50Z
dc.date.issued2011-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6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 제작을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적응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이들의 한국생활적응과 관련한 주요 영역별로 측정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이 문항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를 수행하는 전국의 36개 기관을 이용하는 여성결혼이민자 558명에 대한 조사연구에 포함되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 자료를 이용하여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제작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척도는 총 23개 문항,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척도의 신뢰도는 .89로 양호하였다.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은 1요인 ‘가족 및 한국 문화이해’, 2요인 ‘지역사회이용 및 이해’, 3요인 ‘한국어 이해 및 사용’, 4요인 ‘대인관계 및 사회활동참여’, 5요인 ‘한국음식적응’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요인들은 56.87%의 설명력을 보였다. 제작된 측정도구를 통해 산출된 한국생활적응 및 하위영역들의 값은 예측대로 연구대상자의 연령, 교육수준,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척도의 변별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기준관련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는 동시타당도, 예측타당도 및 증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개발된 척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construct scale items, critical issue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26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for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was attempted, using data drawn from a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558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5 factors: factor 1 ‘understanding of family & Korean culture’; factor 2 ‘understanding & utilization of local community’; factor 3 ‘understanding &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actor 4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activities’; and factor 5 ‘adaptation to Korean foods.’ The final 5 factor scale consisted of a total of 23 items, and these factors accounted for 56.87% of variance. This scale was found to be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as suggested by Cronbach’s alpha .89. In terms of validity, the scale showed a proper discriminant power, criterion and incremental valid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cale’s applic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studies was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 및 결과 Ⅳ. 한국생활적응 측정도구의 타당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dc.format.extent3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측정도구 개발연구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여성결혼이민자
dc.subject.keyword한국생활적응
dc.subject.keyword한국생활적응척도
dc.subject.keyword척도개발
dc.subject.keywordFemale Marriage Immigrant
dc.subject.keywordKorean Life Adaptation
dc.subject.keywordKorean Life Adaptation Scale
dc.subject.keywordScale Development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1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63
dc.citation.endPage10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63-10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4, pp.63-100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9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