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암 치료 소외계층을 위한 암 의료이용 체계 구축의 모색: 환자 네비게이션(Patient Navigation) 프로그램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ncer Care Service System for Health Care Disparities in Korea: Based on Cancer Patient Navigation Program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영선
dc.contributor.author이송이
dc.contributor.author한인영
dc.date.accessioned2011-10-13T01:47:10Z
dc.date.available2011-10-13T01:47:10Z
dc.date.issued2011-09-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433
dc.description.abstract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률과 사망률, 암관리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암 치명률과 사망률의 격차를 보일 뿐 아니라, 오히려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일수록 암 치료를 위한 의료이용에서 소외되는 건강불평등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료재원 활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 우리보다 앞서 암 치료 소외계층이 의료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물리적?경제적 장애요소에 적절히 개입하여 의료이용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미국 및 캐나다에서 진행된 200개 이상의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암 의료이용 시 겪게 되는 경제적 어려움, 물리적으로 낮은 이용 접근성,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제약, 분절된 서비스 전달체계, 인종에 따른 차별 등을 줄이고 암 의료이용에의 접근성을 높인 결과 암 생존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검토에 따라 우리나라 암 치료 소외계층의 의료이용 형평성 제고를 위한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해서는 우선 암 환자 및 가족 등 프로그램 대상자의 요구도 조사가 이뤄져야 하며 운영 주체를 통한 원활한 프로그램의 기틀 마련, 그리고 네비게이터의 발굴이 이뤄져야 한다. 한국형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암 환자 의료이용 실태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네비게이터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과제로 제시되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rate of cancer and the cost of treatment for cancer have increased exponentially worldwide. Given the social costs attributed to the rising rate of cancer-related mortality and death, medical inequality became an issue, and there is a recognized need for effective medical support for cancer patients. In several countries, the Patient Navigation Program, a systematic cance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be accessible to Health care disparities in need of cancer treatment,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 Navigation Program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in South Korea. The navigation program train paraprofessionals to provide intervention services for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 barriers to medical services. Presently, there are over 200 Navig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s a result, the program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as increasing number of low-income patients have access to medical service which has reportedly decreased the rate of cancer-related mortalit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uch program would be as effective in South Korea, our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Navigation Program use. There is a need for survey for data base for cancer patient service utility and develop navigator training program. The navigation program will decrease the rate of cancer related mortality and serve for medical inequ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Ⅲ. 우리나라 암 질환 관련 현황 Ⅳ. 암 치료 소외계층 대상 암 관리 프로그램 사례: 환자 네비게이션(Patient Navigation) 프로그램 중심으로 Ⅴ.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가능성과 과제 Ⅵ. 맺음말 참고문헌
dc.format.extent3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암 치료 소외계층을 위한 암 의료이용 체계 구축의 모색: 환자 네비게이션(Patient Navigation) 프로그램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ncer Care Service System for Health Care Disparities in Korea: Based on Cancer Patient Navigation Program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암 치료 소외계층
dc.subject.keyword암 관리
dc.subject.keyword의료이용 불평등
dc.subject.keyword환자 네비게이션
dc.subject.keywordPatient Navigation
dc.subject.keywordCancer Care
dc.subject.keywordHealth Care Disparities
dc.subject.keywordHealthcare Undeserved Popula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308
dc.citation.endPage34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3호, pp.308-34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3, pp.308-340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