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배우자 사별노인의 우울과 적응유연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Late Life Widowhood: Testing Mediation Model of Social Suppor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신열
dc.contributor.author김순규
dc.contributor.author서효정
dc.date.accessioned2011-10-13T01:31:26Z
dc.date.available2011-10-13T01:31:26Z
dc.date.issued2011-09-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4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로 인해 우울이라는 심리적 위험상황에 처한 노인을 중심으로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으로 적응하는 특성, 즉, 노인의 적응유연성과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전라북도 K시 19개 읍?면?동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가운데서 배우자와 사별을 경험한 20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1:1면접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배우자를 사별한 노인의 우울이라는 정신건강에 초점을 두고, 우울이 노년기 삶의 질을 결정하는 적응유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증의 위험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우울이 사회적 지지를 감소시키고, 이것이 다시 적응유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late life of widowhood.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is sample was based on 200 widow and widower aged over 65 living in K city, Jeollabuk-Do. A sampling method was the snowball sampling using face to face interview, and an analysis method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testifi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support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resilience, while the depression had directly impacted on resili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support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This study theoreticall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s documenting the impact of depression on resilience of subjects, as verifying mechanism of social support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demonstrated in an empirical way. Not only that, but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olitic implication through these resul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배우자 사별노인의 우울과 적응유연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dc.title.alternativeDepression and Resilience in Late Life Widowhood: Testing Mediation Model of Social Suppor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적응유연성
dc.subject.keyword사회적 지지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매개효과
dc.subject.keywordResilience
dc.subject.keywordSocial Support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Mediation Effect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65
dc.citation.endPage19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3호, pp.165-19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3, pp.165-196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8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