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우리나라 가구구조의 변동과 시도별 가구수 추계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유경
dc.contributor.author조대희
dc.date.accessioned2010-11-09T02:21:16Z
dc.date.available2010-11-09T02:21:1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37
dc.description.abstract家族을 가장 오래되고 基本的인 社會制度로 보는데는 異論이 있올 수 없다. 이런 점에서 가족이 오랫동안 사회과학자들의 주요 분석대상이 되어 왔던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家族規模는 어떠한가 어떻게 構成되어 있는가 또 시대가 바핍에 따라 어떻게 달라져 왔는가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이러한 變化趣勢가 社會經濟的으로 어떤 意味를 갖는가 하는 것은 사회과학자는 물론 한 國家를 경영하는 政策決定者에게 지대한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학자들이 가족에 관심을 기울이고 실질적인 연구를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1960年代 以後부터 이다. 그나마 인구연구의 다른 分野 즉 出塵力,死亡力,인구移動에 비해 아직도 초보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Burch, 1979) 일찍이 UN의 인구전문가들도 結婚力올 포함하여 家族과 家口에 관한 연구가 A 口學에서 가장 낙후된 분야라고 지적한 바 었다.(UN,1973) 가족에 관한 인구학적 연구가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미성숙한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다루는 主題가 매우 복잡한데다가 職念定義의 標準化와 家口와 家族을 分析하는 節次와 模型이 만족할 만한 水準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얘기되고 있다. (Bonga따ts, 1983)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본 연구의 의의 2. 가구의 정의와 작업의 범위 제2장 가구규모와 가구구조의 변동 1. 가구수 및 평균가구원수의 변화 2. 가구구조의 변화 3. 가구주의 특성 4. 가구주율의 변동 제3장 가구수의 추계 1. 장래 가구수추계의 의의 2. 가구수추계 방법 3. 장래의 가구주율과 가구수 4. 시ㆍ도별 가구수의 추계 5. 가구의 형태별 규모별 구성비의 변화와 가구구조의 전망 6. 가구주의 혼인상태별 구성비의 변화와 가족구조의 전망 제4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우리나라 가구구조의 변동과 시도별 가구수 추계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유경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1994-1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1994-11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