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 A Critical Review on Definition of the Baby-boom years, Labor market shocks,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transfe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용하
dc.contributor.author임성은
dc.date.accessioned2011-07-11T07:47:44Z
dc.date.available2011-07-11T07:47:44Z
dc.date.issued2011-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6958
dc.description.abstract베이비붐 세대란 합계출산율이 3.0 이상인 연령대가 일정기간 연속적으로 유지된 인구 코호트를 의미한다. 현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를 1955~1963년 출생자로 규정하고 있으나, 출산율과 출생아수 급증을 함께 고려할 때, 베이비붐 세대는 한국전쟁 이후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뿐만 아니라 1974년까지 태어난 세대까지 포함하는 총인구의 34%(1,650만명)를 차지하는 거대 인구집단으로 정의하는 것이 인구 및 노동시장 분석에 보다 정확히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노동시장에 충격을 주는 시점도 2010년대 혹은 2020년대라기보다는 2030년대 이후 2040년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 2010년대 혹은 2020년대에도 영향을 주지만 여성, 청년, 중고령층에 산재한 비경활인구가 부분적으로 대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040년대의 인구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2010년대부터 적극적인 저출산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는 낀 세대로서 희생세대라기보다는 국민연금 등 사회적 이전으로부터 최대 수혜계층일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가 노동시장에 존재할 때 적극적인 재정균형 대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baby boom generation is a population cohort with a total fertility rate of 3.0 or more las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ustained manner. Most studies have defined Korean baby boomers as those born between 1955 and 1963. Considering both the fertility rates and the rapidly increased number of births, however,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define them as those born after the Korean War until 1974 as this definition has a more precise application in demographic and labor market analyses. By this definition, the baby boom generation would m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total population, standing at 35%(16.5 million). Also, it is more likely than not that the point of time when retiring baby boomers begin to have impact on the labor market will be the 2030s, or 2040s, rather than the 2010s, or 2020s. This is because in the 2010s or 2020s, economically non-active population among women, young adults, middle-aged or aged people can partly replace some of the retiring baby boomers.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a population crisis in the 2040s, active policy measures to address low fertility rates should be implemented starting from the 2010s. Furthermore, baby boomers are more likely a generation that would benefit the most from social transfer such as the public pension than a sacrificing generation stuck in between other gene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into operation active measures to bring about fiscal balance while baby boomers are still in the labor mark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베이비붐 세대의 범위와 규모 문제 Ⅲ. 베이비붐 세대 은퇴이동이 노동시장에 충격을 주는 시점에 대한 문제 Ⅳ. 베이비붐 세대의 세대간 소득이전상의 중립성 문제 Ⅴ. 결언 참고문헌
dc.format.extent2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dc.title.alternativeA Critical Review on Definition of the Baby-boom years, Labor market shocks,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transfer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베이비붐 세대
dc.subject.keyword인구구조 변화
dc.subject.keyword고령화
dc.subject.keyword국민연금
dc.subject.keyword은퇴
dc.subject.keyword세대간 소득이전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dc.subject.keywordBaby Boom Generation
dc.subject.keyword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dc.subject.keywordAging
dc.subject.keywordPublic Pension
dc.subject.keywordRetirement
dc.subject.keywordInter-generational Income Transfer
dc.subject.keywordLabor Marke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임성은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1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36
dc.citation.endPage5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36-5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2, pp.36-5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8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