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소득과 기대여명 = Income and Life Expectanc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우해봉
dc.date.accessioned2011-07-11T07:45:37Z
dc.date.available2011-07-11T07:45:37Z
dc.date.issued2011-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695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중상태 생명표 모형을 활용하여 소득과 기대여명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전통적인 방식의 생명표 모형과 달리 단순한 생존 기간뿐만 아니라 생존 기간 동안의 건강 상태를 포착하고자 활동적 기대여명 추정치를 동시적으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단일의 소득 지표 대신 가구소득, 개인소득, 생애소득과 같은 복수의 측정치를 고려함으로써 상이한 지표 사용에 따라 나타나는 기대여명 추정치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있다.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하위 소득계층에 대비한 상위 소득계층의 총 기대여명과 활동적 기대여명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남으로써 소득이 생존 기간이라는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생존 기간 동안의 삶의 질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압축적으로 보여 주었다. 그러나 분석 결과는 또한 소득 측정치에 따라 기대여명 추정치(특히, 총 기대여명)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남을 보여 줌으로써 소득계층의 구성과 관련된 측정치의 선택에 있어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Using multi-state life table models, this study analyzes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and life expectancy in Korea.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efforts, which mainly focused on total life expectancy, this study simultaneously examines total, active, and inactive life expectancies to capture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length of life. This study also employs several measures of income, such as current individual/household income and individual lifetime income,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otal, active, and inactive life expectancies by income level. This study finds that on average individuals in the top half of the income distribution tend to have a longer total life expectancy than those in the bottom half. Further, individuals in the top half are also expected to live a larger share of their lives in an active state. However, this study also finds some inconsistencies in life expectancy estimates (in particular, total life expectancy) across income measures, indicating that some caution should be paid in measuring social class in terms of inc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소득계층별 차별 사망력과 기대여명 Ⅲ. 자료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3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소득과 기대여명
dc.title.alternativeIncome and Life Expectanc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소득
dc.subject.keyword기대여명
dc.subject.keyword활동적 기대여명
dc.subject.keyword다중상태 생명표 모형
dc.subject.keywordIncome
dc.subject.keywordLife Expectancy
dc.subject.keywordActive Life Expectancy
dc.subject.keywordMulti-State Life Table Model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우해봉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1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60
dc.citation.endPage9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60-9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2, pp.60-94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