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시각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The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우진
dc.contributor.author박경숙
dc.date.accessioned2011-07-11T07:41:03Z
dc.date.available2011-07-11T07:41:03Z
dc.date.issued2011-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695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평등을 위해 자립생활패러다임을 토대로 실시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찾아내어 활동보조서비스가 형평성있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찾기 위해 Andersen의 행동모델을 활용하여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요인을 구분하였으며, 이 두 가지 특성 모두 귀속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들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는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여부, 이용기간, 이용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시각장애인 286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로짓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 중 욕구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컸고, 그 중 장애등급이나 주부양자의 신체적 부양부담이 가장 중요한 영양을 미쳐 활동보조서비스가 비교적 형평성있게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상생활수행능력같은 욕구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형평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원요인 중에서는 시각장애인 직업유무가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활동보조서비스 확대 및 욕구평가도구의 개선과 직업있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활동보조서비스 시간확대의 필요성 등의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to examine whether or not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s equitable for them. Andersen’s behavior model was used for this purpose. The behavior model used consisted of the two groups of factors which represented individu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e both groups of factors consisted of the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The 286 visually impaired people were surveyed and the logi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eed factors of the individu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had the most high explanatory power. Specifically, the level of impairment and main care giver’s physical care burden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However, the level of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not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tilization. Therefore,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revealed limited equity. The enabling factor such as whether or no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had job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utilization. Policy recommendations such as improvement of the need assesment instrument and increase of service hours for the working visually impaired people wer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dc.format.extent3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시각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itle.alternativeThe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시각장애인
dc.subject.keyword활동보조서비스
dc.subject.keywordAndersen 행동모델
dc.subject.keyword자립생활패러다임
dc.subject.keywordVisually Impaired People
dc.subject.keywordPersonal Assistance Service
dc.subject.keywordAndersen’s Behavior Model
dc.subject.keywordIndependent Living Paradigm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1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46
dc.citation.endPage17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146-17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 No.2, pp.146-17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