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동아시아 국가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 패널 SVAR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 Cross-country Correlations of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Growth in the East Asia: Empirical Analysis using Panel SVAR Model

제목
동아시아 국가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 패널 SVAR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 Cross-country Correlations of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Growth in the East Asia: Empirical Analysis using Panel SVAR Model
저자

이종하 ; 황진영

키워드
고용 ; 출산 ; 성장 ; 동아시아 국가 ; 패널 SVAR 모형 ; Women's Employment ; Fertility ; Growth ; East Asia Countries ; Panel SVAR Model
발행연도
2011-03-0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1호, pp.3-26
초록
본 논문은 1980~2008년 기간의 동아시아 9개 국가, 즉 대한민국ㆍ말레이시아ㆍ싱가포르ㆍ인도네시아ㆍ일본ㆍ중국ㆍ태국ㆍ필리핀ㆍ홍콩을 대상으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세계은행에서 제공하는 동아시아 국가 간 여성경제활동참가율, 합계출산율 및 경제성장률의 패널자료를 이용했으며, 패널 구조적 벡터자기회귀(panel SVAR) 모형을 사용해 충격반응함수와 분산분해를 추정해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검토했다. 패널분석 결과 자체 변수의 결정은 자체 변수의 변동에 의해 대부분 설명되고, 다른 변수의 변동이 자체 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약 6~11%인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개별국가로 대상으로 한 시계열 분석의 경우 국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다른 변수들의 변동이 자체 변수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약 20~40%인 점을 감안할 때 다소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동아시아 9개 국가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내생적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그 관련성은 크지 않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분석대상인 9개 동아시아 국가에서 전체노동력, 특히 여성노동력 대비 이주 노동력의 비중이 크지 않다는 사실과 이로 인해 이주 노동력이 고용, 출산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즉 본 연구결과는 유럽연합(EU) 국가들과는 달리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우 아직까지 경제정책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합법적으로 노동시장 간의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추측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자료 및 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국가별 여성경제활동참가율, 합계출산율 및 경제성장률의 변화추이
ISSN
1226-072X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