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2009년 한국복지패널 심층분석 보고서 -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한 사회지표분석 - = An In-depth Study of 2009 Korea Welfare Panel Study - Analyzing Social Indicators -

제목
2009년 한국복지패널 심층분석 보고서 -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한 사회지표분석 - = An In-depth Study of 2009 Korea Welfare Panel Study - Analyzing Social Indicators -
저자

김미곤 ; 여유진 ; 김계연 ; 오지현 ; 신재동 ; 김민희

키워드
한국복지패널 ; 심층분석
발행연도
201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록
- 국민의 경제ㆍ사회적 행태변화, 특히 빈곤층 및 차상위층의 규모ㆍ실태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의 사회복지제도를 효과적으로 개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 정책욕구 및 수요의 체계적 파악을 통해 정책우선지원순위 결정 및 그에 따른 중장기 재정수요 파악을 통한 합리적인 복지지출계획을 수립
- 복지의존성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전되느냐를 규명할 수 있은 빈곤의 세대간 연구등과 같은 심층 분석자료 제공을 통해 학술연구 발전에 기여 및 장기적인 사회통합성 제고방안에 기여
- 정부정책 또는 경제적, 인구학적 여건변화에 대한 충격분석 및 각 정책의 효과성 평가를 통한 사회복지정책의 개선방안 제시

This study aims to describe Korea's present situation and it's changing aspects in five parts: distribution, housing, health, labor, and social security by analyzing raw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from 1st to 4th Wave. As the first social indicator, distribution is analyzed with poverty index including poverty ratio and poverty gap, and inequality index containing Gini coefficient, Entropy Index, Atkinson Index, and Distribution ratio. Also the effects of poverty reduction and inequality alleviation have been studied. As the second social indicator, housing is analyzed with the index of housing stability, housing amenity, housing affordability, and housing poverty. Third, health is examined by the index indicating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smoking behavior and drinking behavior. Fourth, labor is observed with the economic participation rate, th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 the occupation status, the number of family member employed, and the ratio of work in hazardous circumstances. Fifth, social security is analyzed by observing the recipient ratio of the public assistance, social insurance and the other welfare related service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by showing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in various indicators--including income distribution, housing, health, labor, and welfare benefit--during the period between 2005 and 2008, by income groups (5 quintiles), sex, age, and area.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한국복지패널 개관
1. 조사개요
2. 한국복지패널의 장점 및 한계

제3장 분 배
1. 소득분배 관련 지표 산출 방식
2. 소득분배 지표 산출결과와 추이
3.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4장 주 거
1. 주거복지 지표 산출방식
2. 주거복지 지표 산출 결과와 추이
3.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5장 보건의료
1. 보건의료 측정지표의 선정 및 측정도구
2. 보건의료지표 측정결과와 추이
3.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6장 노 동
1. 노동지표 산출 방식
2. 노동지표 산출 결과와 추이
3.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7장 복지수급
1. 복지수급 지표 산출 방식
2. 복지수급 지표 산출 결과
3. 복지수급 지표 분석 결과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0-37-2
ISBN
978-89-8187-736-1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소득보장 > 공공부조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