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 (1차년도) = Study on Establishing Preventive Welfare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For Vulnerable Families, Families in Crisis, and Multicultural amilies: 1st Year

제목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 (1차년도) = Study on Establishing Preventive Welfare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For Vulnerable Families, Families in Crisis, and Multicultural amilies: 1st Year
저자

김승권 ; 황성철 ; 김연우

키워드
취약 위기 ; 다문화가족
발행연도
201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취약ㆍ위기 및 다문화 가족의 Database 및 지원체계 구축

ㆍ 3개 광역시 및 4개 도의 시군구별 Database 기초자료 수집 및 정보화

- 취약ㆍ위기가족 및 다문화 가족의 통합사례관리 모형개발 및 사례관리 실시

ㆍ 지역특성별 통합사례관리 모형개발

ㆍ 7개 시도의 약 100개 건강가정지원센터 및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의 통합사례관리 실시

- 통합사례관리 평가

ㆍ 평가틀 개발 및 평가추진

- 취약위기 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한 복지서비스 인프라 구축방안

ㆍ 중앙 및 지방정부

ㆍ 거점 센터의 확충 및 연계 방안

ㆍ 복지서비스 프로그램 내실화

ㆍ 담당 인력확충 방안

The number of families in crisis, vulnerable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is increasing in Korea. Although policies and services were created to address poverty and reduce risky factors, families in need have been increasing substantially since the mid-1990s.
This three year study in its first year attempts to establish a preventive welfare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for vulnerable families, families in crisi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44 case management centers in Korea conduct case management for these families.
In the first year, 80 case managers and 44 supervisors from their respective centers provided case management for 229 families, covering 768 individuals. In the analysis of the case management, we find that the families have common needs and show high risks in the following areas: lack of leisure activities, nervousness, difficulties in school life, parent-offspring conflicts, chronic/rare/incurable diseases, and lack of resources for housing expenses.
Finally, this study develops a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evaluation system for case management. Existing domestic studies of this area tend to focus on the evaluation of input and output of case management, not its outcome. Our proposed system overcomes these limitations. The analysis of the system for case management will be conducted next year.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취약.위기 및 다문화가족과 통합사례관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취약.위기가족의 개념
제2절 가족위기 전후 과정의 모델
제3절 통합사례관리 개념 및 필요성
제4절 통합사례관리의 이론적 배경

제3장 통합사례관리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제1절 국내 정책동향
제2절 외국의 정책동향
제3절 통합사례관리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의 시사점

제4장 통합사례관리 대상가구 선정기준 및 모형개발
제1절 초기상담 및 대상가구(대상자) 선정
제2절 욕구·자원사정, 기초선 측정, 계약
제3절 사례관리 계획수립
제4절 사례관리 실시 및 점검
제5절 종결심사 및 종결
제6절 사후관리

제5장 통합사례관리 실시
제1절 대상가구선정 결과
제2절 초기상담지 분석
제3절 욕구사정 분석

제6장 통합사례관리 대상가구의 위험사정 기초선 분석
제1절 가구의 위험사정 기초선 분석
제2절 개인의 위험사정 기초선 분석
제7장 취약.위기 및 다문화 가족의 사례관리 인프라 구축방안
제1절 개요
제2절 국내 사례관리기관의 인프라체계 분석
제3절 포커스그룹 및 개인인터뷰
제4절 사례관리 거점센터의 인프라 구축방안

제8장 통합사례관리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안) 개발

제9장 결 론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0-35
ISBN
978-89-8187-843-6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