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사회 기후변화 모니터링센터 운영 (1년차) = Monitering of the health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

제목
보건사회 기후변화 모니터링센터 운영 (1년차) = Monitering of the health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
저자

신호성 ; 고광욱 ; 이원학 ; 정영철김동진채수미 ; 홍미영 ; 이수형 ; 이용환 ; 유병철 ; 김윤지 ; 신용현 ; 한수진

키워드
보건사회 ; 기후변화
발행연도
201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지역사회 취약성 평가 사업
ㆍ 기 개발되거나 개발중인 지역사회 취약성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함.
ㆍ Nelson(2005)은 호주의 Broadacre에 대한 취약지수 개발에서 12가지의 지표를 5개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하였고, Sietchiping 등(2006)은 호주의 빅토리아 보리벨트라 불리는 지역의 기후변화와 취약서 및 적응력 지수 개발에 3개영역 16개 지표를 사용하였음. Nelson의 지표에는 인간(human)영역에 교육, 관리능력을 포함시키고, 사회(social)영역에 사업파트너십 인터 사용, landcare 구성원여부, 자연영역에 토지황폐와(degradation) 지수, 농장성장지수(Pasture Growth index), 물리환경영역에 수입구조의 다양성, 사용토지 비율, 재정영역에 평균 소득, 소득 위험구조, 비농업수입 비율을 포함됨.
ㆍ 기후변화는 세계적이고 국가적 차원에서 일어나지만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주체는 지역사회임.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정보제공, 회복력 증진, 적응 전략의 추진이 핵심 전략으로 알려져 있음. 이는 지자체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고 적응역량을 평가하여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
ㆍ 지역별 취약성 및 적응역량 평가 결과는 실무교육 자료로 활용 가능함.
- 기후변화 Mainstreaming 및 정책 개발 사업
ㆍ 지역단위 사회서비스 정책, 건강증진 전략의 수정 및 보완
ㆍ 기후변화 의사결정 과정에 취약계층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
- 교육 훈련 사업
ㆍ 기후변화에 따른 지자체별 취약성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실무교육
ㆍ 민간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Green Clinic’ 교육 및 공공 민간 협력 증긴 방안 교육
ㆍ 정책 세미나 개최
- D/B 및 구축 운영 사업
ㆍ 연구개발 사업으로부터 1차자료, 지역사회 평가사업 결과인 2차 자료가 모두 D/B에 수집되어 차후 자료 활용 및 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Climate changes occur on national and global scales, but the focus of adaptation
policies is on local “communities.” Reduc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s requires a respons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dentifying potential risk areas. Analyses of risks factors are regarded essential in any effort geared towards minimizing the socioeconomic repercussions of climate changes. Adaptation strategies will have to factor in the need for improving residential and working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the sociallyunderprivileged.
To this end, communications and dialogues should be facilitated between third-sector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Also, publ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thwith to help such privately-led health care initiatives as Green Clinic strengthen their roles in various activitie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 comprehensive set of adaptation strategies for basic localities, where people are in direct contact with public services. Incomplete though climate response policies are for even the centr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adaptation strategies for basic localities cannot be put off indefinitely. The reason upon which the authors base the priority of basic localities is in the fact that, when it come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effort, as is the case in many other
policy areas, it is what’s done-in terms of data collection and needs assessment, among many other things-at the local level that shapes the direction of what at a higher level on a larger scale should be done to reduc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s, not least on people’s health. This study provides ample new information on the social and health dimensions of climate change and suggests ways to incorporate this into the existing database.
목차
제1장 기후변화 일반사항
제1절 서울시 기후
제2절 영등포구 기후
제3절 미래 기온 예측

제2장 기후, 사회적 인프라 현황 분석
제1절 현황 분석 자료
제2절 영등포구 기후, 사회적 인프라 현황 분석

제3장 기후변화 적응대책 현황

제4장 기후변화 적응전략
제1절 전염병
제2절 알레르기
제3절 폭염
제4절 대기오염

제5장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방안
제1절 전염병
제2절 알레르기
제3절 폭염
제4절 대기오염

Ⅱ 원주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제1장 기후변화 일반사항
제1절 원주시 기온관련 변화
제2절 원주시 강수변화
제3절 원주시 대기오염 변화
제4절 원주시 미래기후변화 전망

제2장 기후 및 사회적 인프라 현황
제1절 원주시 일반 현황
제2절 원주시 기후변화 인프라 현황
제3절 원주시 사회적 인프라 현황

제3장 기후변화 적응대책 현황
제1절 전염병 및 알레르기 분야
제2절. 폭염, 재난영역
제3절. 대기오염 분야

제4장 기후변화 적응전략
제1절 원주시 기후변화 취약성
제2절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현황 : 강원도 사례
제3절 원주시 적응대책의 SWOT 분석

제5장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방향
제1절 전염병 및 알레르기 분야
제2절. 폭염, 재난영역
제3절. 대기오염 분야

Ⅲ 창원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제1장 기후변화의 일반사항
제1절 창원시 기후변화 추세

제2장 기후, 사회적 인프라 현황 분석
제2절 창원시 기후변화

제3장 창원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현황

제4장 기후변화 적응전략
제1절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
제2절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현황
제3절 국외사례

제5장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방향
제1절 기후변화 적응대책 부문별 구체적 적응대책

Ⅳ 보건사회 기후변화 모니터링센터를 위한 DB 구축

제1장 보건사회 기후변화 모니터링 센터를 위한 DB구축
제1절 DB구축의 필요성
제2절 한국형 기후변화 건강영향 및 대응전략연구
제3절 국내외 기후변화 주요 관련기관 웹사이트 콘텐츠 분석
제4절 결론 및 기대효과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0-34
ISBN
978-89-8187-732-3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