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자활정책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향 = Assessment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olicy on Self-relianc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노대명
dc.contributor.author이소정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contributor.author유태균
dc.contributor.author이선우
dc.contributor.author손기철
dc.date.accessioned2011-03-10T07:50:41Z
dc.date.available2011-03-10T07:50:4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isbn978-89-8187-684-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6084
dc.description.abstract□ 기초보장제도 내에서 자활지원사업의 의미 □ 기초보장제도와 자활지원사업의 내용과 실제 □ 자활지원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 외국의 근로빈곤층 대상 탈빈곤 지원정책 검토 □ 우리나라 근로빈곤층의 실태 및 특성 분석 □ 자활지원사업과 관련된 쟁점 정리 □ 자활지원사업의 발전방안 제시
dc.description.abstractNational Basic Livelihood Program was introduced in the year 2000 with the purpose of guaranteeing the livelihood of recipients as a right and to promote poverty exit through self-reliance program.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the self-reliance program unde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gram was far from achieving expected outcome and thus extensive reform is necessary. More specifically, the self-reliance program showed limited outcome on employment result of beneficiaries and increased dependency. Nevertheless these arguments have not been empirically prooved. There have been empirical researches on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self-reliance program but most of them lacked discussions on what should be defined as the 'outcome' of self-reliance program. Thus this study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self-reliance policy from its birth in order to draw societal and philosophical meaning underlying the current self-reliance program. Based on that definition, more specific evaluations are made so as to find future policy implic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의 구성 제2장 자활지원사업의 역사와 평가 제1절 자활지원 개념의 다중성 제2절 우리나라 자활지원사업의 역사 제3절 자활지원사업의 역사적 평가 제3장 각국 자활사업에 대한 비교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이론적 검토 제3절 각국 자활사업의 환경과 근로빈곤층 제4절 각국 자활사업의 특성 비교 제5절 각국 자활사업의 성과와 한계 제6절 소결 제4장 자활지원사업의 효과 평가 제1절 연구방법 제2절 연구결과 제3절 소결 제5장 자활사업 참여 경험이 참여자의 삶에 미친 영향 제1절 연구 목적 및 내용 제2절 연구방법 제3절 연구결과 제4절 소결 제6장 지역자활센터의 현황과 발전방향 제1절 자활지원사업 전달체계의 현황 제2절 지역자활센터의 특성과 성과 제3절 지역자활센터의 성과 문제와 개선 방안 제7장 결론 제1절 우리나라 자활사업 10년의 평가 제2절 자활사업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자활정책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향
dc.title.alternativeAssessment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olicy on Self-relianc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자활지원사업
dc.subject.keyword근로빈곤층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대명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0-1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0-15
dc.subject.kihasa공공부조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공부조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