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 제3섹터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Supports for the Third Sector in Kore

제목
한국 제3섹터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Supports for the Third Sector in Kore
저자

노대명 ; 김신양 ; 장원봉 ; 김문길

키워드
한국 제3섹터 ; 육성방안
발행연도
201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제3섹터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
-한국 제3섹터에 대한 실태분석
(고용규모 및 경제규모 추정)
-각국 제3섹터에 대한 현황진단
(서구 및 일본과의 비교연구)
-제3섹터에 기반한 고용창출 및 사회적 자본확충방안 제안

The global economic crisis of 2009 has shocked both employment and income structure in many countries. In the process, the third sector is increasingly viewed as performing important function in easing these shocks. The third sector not only slows down employment decline but also strengths various forms of social support base, helping the government overcome fiscal crisis and cushion the shock of economic depression. The problem is that such effect, dependent as it is on the size, financing, and structure of the third sector, is not identical across all countries. In this regard, it is worthwhile to closely examine potential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third sector excessively depends on either the government or the market. Third-sector organizations whose financial resources come exclusively from the government may not be all that sustainable. On the other hand, other third-sector organizations which depend heavily on private corporations are exposed to a great extent to the risk of market volatility. All this suggests that the third sector needs a substructure that can buffer external shocks. This study focuses on what conditions should be met in order for Korea’s third-sector organizations to best play their role as advocacy groups and in providing a wide range of services. The government will have to improve legislation and taxation on third-sector organizations, and come up with criteria with which to assess their contributions to the public good.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government support is not a cure-all solution, which is to say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ensure that third-sector organizations become more independent of government support. This may begin by addressing the question of why citizens in most cases choose not to donate on their own accord. Ways of encouraging people to donate should be sought by raising transparency in the management of donations and by improving reports on how much and how well third-sector organizations do with the funds at their disposal.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연구방법
제3절 연구의 한계

제2장 이론적 검토
제1절 제3섹터 개념에 대한 정의
제2절 제3섹터 개념의 상이한 발전경로
제3절 제3섹터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논의

제3장 한국 제3섹터의 실태 분석
제1절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 제3섹터
제2절 한국 제3섹터에 대한 선행연구
제3절 한국 제3섹터의 규모와 실태
제4절 한국 제3섹터의 실태와 관련한 쟁점

제4장 각국 제3섹터 육성방안의 비교
제1절 프랑스의 제3섹터 육성 방안
제2절 독일의 제3섹터 육성방안
제3절 영국의 제3섹터 육성 방안

제4절 일본의 제3섹터 육성방안

제5장 제3섹터 육성정책의 주요 쟁점
제1절 제3섹터 조직의 법적 위상 문제
제2절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제3절 사회적기업 및 사회적경제에 대한 민간지원체계
제4절 정부는 제3섹터를 어떻게 육성해야 하는가

제6장 결 론
제1절 제3섹터 법제와 관련한 정책제안
제2절 사회적기업과 관련한 정책제안

참고문헌

부록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0-12
ISBN
978-89-8187-681-4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