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아시아 국가의 사회안전망 - 아시아 복지국가 자료 및 전략센터 구축 (1년차) - = Social Safety Nets in Selected Asian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홍석표
dc.contributor.authorAlicia Bala
dc.contributor.authorDang Kim Chung
dc.contributor.authorChang Keun Han
dc.contributor.authorZulkarnain A. Hatta
dc.contributor.authorSeiichi Inagaki
dc.contributor.authorSomchai Jitsuchon
dc.contributor.authorYoshihiro Kaneko
dc.contributor.authorByungcheol Kim
dc.contributor.authorJen-Der Lue
dc.contributor.authorAsep Suryahadi
dc.contributor.authorYos Vajragupta
dc.date.accessioned2011-01-31T01:07:36Z
dc.date.available2011-01-31T01:07:3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isbn978-89-8187-734-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947
dc.description.abstract주로 Huber, Stephens, 그리고 Ragin에 의해 구축되어 수많은 복지국가 비교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온 ‘비교 복지국가 데이터셋(CWSD)’, 국제인식비교조사(ISSP) 등과 연동이 가능한 계량자료, 개별국가에 대한 제도자료를 통합한 ‘아시아 복지국가 데이터셋’을 구축
dc.description.abstractIt is debatable whether social safety nets knitt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can work in the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in a time when social change is so rapid. Asian countries have been battered by two economic crises of 1997 and 2008/2009, and the poor and vulnerable in the region were hit hard. Thus, it is opportune to look into how social safety nets set up by each Asian country to protect them work, and important to discuss the direction of mid-to long-term policies for social safety nets in a way that minimizes negative repercussions that could resul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safety nets in the region: First, enhancing social safety net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requires both the development of social insurance programs as well as short-term or temporary social assistance programs. Second, there can’t be a single social safety net that works in all countries. Thus, it should reflect the social norms, historical or institutional traditions,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national priorities, and capacity of local areas in the light of the preference of people. Third, social assistance programs are an effective tool in mitigating the impact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the short term, however, in order to provide continuous cushion from the outside impact and to alleviate poverty, other forms of long-term social security services such as education and medical and nutrition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ourth, to prevent the leakage of budget and efficiently implement social safety net programs, it is essential to obtain trustworthy information on who the vulnerable are and whether those selected to be the beneficiaries are the right ones. Fifth, Asian countries need to enhance social security by expanding social insurance programs and raising their management efficiency. Lastly, it is important to provide technical support to multilateral or bilateral social aid agencies in the development, targeting and monitoring of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the analysis and collection of data for their eval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사회안전망 효과성제고를 위한 요소 제 1절 위기대처정책 제 2절 사회안전망의 설계 및 실행 제 3절 사회안전망의 고안과 시행시의 원칙 제 4절 사회안전망의 효율성 제고 제2장 과도기 대만의 노동/사회 정책 제도 제 1절 개발도상국의 개발 전략과 복지 제도 제 2절 생산주의 복지 시스템으로? 대만 사회보험제도의 권위주의 기원과 변형 제 3절 민주화 시대 사회보장 적용범위의 확장과 확대 제 4절 재정 위기에 대한 노동/사회 정책적 대응의 정치 경제학 제 5절 대만을 통해 다른 국가에게 제시하는 교훈 제3장 필리핀의 사회안전망 제 1절 필리핀의 사회보장 및 사회안전망 제 2절 서비스 전달의 문제점 제 3절 빈곤 감축을 위한 국가가구타겟팅 시스템 (NTHS-PR) 제 4절 경제개발청 사회개발위원회(NEDA-SDC)의 사회보장 분과위원회 제 5절 사회보장 필수과제 제 6절 세계금융위기 시기에 필리핀 정부가 시행한 사회안전망 제4장 일본의 사회안전망 제 1절 서론 제 2절 고령화 진행 및 경기침체와 관련된 사회보장 현안 제 3절 공적연금 제도와 연금 개혁안 제5장 말레이시아의 사회안전망 제 1절 서론 제 2절 말레이시아의 기존 사회안전망 제 3절 빈곤 아동과 장애인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 제 4절 결론 제6장 베트남의 사회 보장: 현황과 나아갈 방향 제 1절 도입 제 2절 베트남의 사회보장 정책 제 3절 혁신의 방향 제7장 싱가포르의 사회안전망 제 1절 서문 제 2절 싱가포르 사회안전망의 기본원칙들 제 3절 2008년 경기침체 이후 사회안전망 제 4절 논의 제8장 인도네시아의 사회안전망 프로그램 제 1절 개요 제 2절 사회안전망 프로그램의 발전 제 3절 주요 사회안전망 프로그램 제 4절 결론 및 제언 제9장 중국의 국가-업무단위 보장제도에서 국가-사회보장제도로의 변환 제 1절 도입 제 2절 개혁이전의 국가-업무단위 보장제도 제 3절 경제 개혁 이후의 국가-사회 보장제도 제 4절 결론 제10장 태국의 사회안전망 제 1절 도입 제 2절 사회보장 제 3절 사회 서비스 제 4절 사회 투자 제 5절 위기에 대응하는 사회안전망 제 6절 결론 제11장 결론 참고문헌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아시아 국가의 사회안전망 - 아시아 복지국가 자료 및 전략센터 구축 (1년차) -
dc.title.alternativeSocial Safety Nets in Selected Asian Countr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0-3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0-36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dc.subject.kihasa복지국가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