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복지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for Developing a Korean System of Welfare Indicato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영미
dc.contributor.author최영준
dc.contributor.author안상훈
dc.date.accessioned2011-01-19T04:49:51Z
dc.date.available2011-01-19T04:49:51Z
dc.date.issued2010-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92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의 복지현황 및 발전 수준을 보여줄 수 있는 복지지표체계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단편적이고 비이론적인 복지지표들을 넘어 체계적이고 견고한 이론적 토대를 가진 복지지표체계를 개발함으로써, 현재의 복지 상황을 이해하고 복지발전 수준을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준거틀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OECD의 사회지표 분석틀을 기반으로 하되 한국 상황에의 적합성을 고려, 수정한 새로운 복지지표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복지지표 분석틀은 3가지 분류기준을 포함하는데, 첫째, ‘PSR(Pressure - State - Response)’모형에 따른 사회적 맥락(social context), 사회적 상황(social status), 복지노력(welfare efforts)이다. 둘째, 사회정책의 목표기준으로 OECD의 사회지표 분석틀에서 제안한 자립, 형평성, 건강, 사회응집에 더하여 지속가능성을 포함, 총 5가지 정책목표를 제시하였다. 셋째, 생애주기별 기준을 사용하여 아동ㆍ청소년기(0-24세), 성인기(25-64세), 그리고 노년기(65세 이상) 세 가지 생애주기로 구분하였다. 기존의 복지지표를 분류하는 기준들이 일정한 기준이나 이론적 근거 없이 인구집단, 제도 혹은 사업, 정책목표 등의 기준들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논리적이고 이론적인 근거를 가진 복지지표체계를 구성하고자 시도한 이 연구는 한국의 복지지표체계 구축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할 뿐 아니라 추후 OECD 등의 사회지표체계 논의에도 기여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welfare indicators in Korea. By developing a system of welfare indicators which is a theoretically well-grounded as well as methodologically sound,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new framework to be used to monitor and analyse the development of welfare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general trends of social change in Korea.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system of welfare indicators on the basis of the OECD social indicator framework. This framework has three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considers the nature of these indicators, grouping them in three areas - social context, social status, societal response - which is similar to “Pressure-State-Response(PSR)”approach. Social context indicator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broader social policy context. Social status indicators describe the social outcomes that policies try to influence. Social response indicators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society is doing to affect social status indicators. In our framework, we used the ‘welfare effort’instead of ‘societal response’to put its emphasis on the government’s efforts. The second dimension groups indicators according to the broad objectives of social policy - self sufficiency, equity, health status, social cohesion. In our framework, we added sustainability to policy objectives list. The third dimension groups indicators according to life-cycle - children under 24 years old, adults from 25 to 64 years old, the aged over 65 years old. This framework for welfare indicators is systemic and coherent, so it will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istic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한국의 복지지표체계 개발 Ⅳ. 결론 참고문헌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한국의 복지지표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for Developing a Korean System of Welfare Indicator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복지지표체계
dc.subject.keyword복지통계
dc.subject.keywordOECD 사회지표 분석틀
dc.subject.keywordSystem of Welfare Indicators
dc.subject.keywordWelfare Statistics
dc.subject.keywordOECD Social Indicator Framework
dc.subject.keywordPSR(Pressure-State-Response)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19
dc.citation.endPage25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pp.219-25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0 No.2, pp.219-253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