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년기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ate-life Disabi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인정
dc.date.accessioned2011-01-19T02:38:25Z
dc.date.available2011-01-19T02:38:25Z
dc.date.issued2010-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9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장애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징, 생리학적 요인, 건강행동,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해 비장애 노인, 경증장애 노인, 중증장애 노인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노년기 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제1차 고령화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155명을 대상으로 Chi검증, ANOVA,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활동에 도움이 필요한 중증장애 노인은 응답자의 9.6%,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에서 도움이 필요한 경증장애 노인은 15.8%에 해당한다. 둘째, 연령, 사회경제적 지위, 만성질환, 감각능력, 건강관련행동, 우울,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 사회적 지지 등에서 비장애노인, 경증장애노인, 중증장애노인 간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노년기 장애수준의 가장 강력한 결정요인은 뇌혈관질환으로 이 질환을 가진 노인은 중증장애에 속할 확률이 현저하게 높다. 우울과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중증장애의 중요한 예측요인이다. 규칙적인 운동은 중증장애와 경증장애 확률을 다 감소시키지만 친구접촉빈도와 사회활동 참여는 중증장애에 속할 확률을, 배우자 유무와 자녀접촉빈도는 경증장애에 속할 확률을 각각 감소시킨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뇌혈관 질환의 특별관리 체계 확립, 노년기 이전 단계부터 규칙적인 운동습관의 보급,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대한 측정 및 개입, 노년기에 친구로부터의 지지와 사회적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 등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d three issues in regard to disability among Korean older persons. First, prevalence of disability was assessed. Second, differences among no disability, moderate disability, and severe disability were compared. Third,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ronic conditions, health behaviors, psycho-social constructs on the level of disability were examined. 4,155 older people(65 and over) selected from the data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ere used for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nomial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suggested that 9.6% of the sample were severely disabled, and 15.8% were moderately disabled. It was also found that three groups(no disability, moderate disability, severe dis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o age, socio-economic status, chronic conditions, health behaviors, depression, perceived health, and social support. Finally, stroke was the most salient predictor of severe disability. It was also strongly related with moderate disability. Regular exercise was found to reduce the chances of both severe disability and moderate disability. Among psycho-social variables,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related with severe disability. While contacts with friends and social activities reduced the chances of severe disability, living with spouse and contacts with children was found to reduce the chances of moderate disabili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implications including special attention to cerebrovascular diseases, enhancement of exercise programs, prevention and reduction of depression, increasing social support in later life we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노년기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ate-life Disabilit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년기 장애
dc.subject.keyword뇌혈관질환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주관적 건강인식
dc.subject.keyword사회적 지지
dc.subject.keywordLate-life Disability
dc.subject.keywordStroke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Perceived Health Status
dc.subject.keywordSocial Support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55
dc.citation.endPage8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pp.55-8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0 No.2, pp.55-84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