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Korea Babyboomer Women In Marital Dissolu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나지나
dc.contributor.author백승애
dc.contributor.author신은경
dc.contributor.author김미혜
dc.date.accessioned2011-01-19T02:34:53Z
dc.date.available2011-01-19T02:34:53Z
dc.date.issued2010-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9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후준비를 통한 여성노인의 빈곤화를 예방하고자, 현재 결혼해체를 경험한 무배우자 베이비부머 여성의 노후준비의 현황과 이들의 노후준비 여부에 어떠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2007년 여성가족패널 1차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인을 소인특성변수와 가용자원변수, 필요변수로 구분하였고 노후준비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결혼해체 유형 중 이혼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다음으로 사별, 별거 순이었다. 학력은 고졸이 가장 많았으며 주거형태는 월세, 자가, 전세 순이었고 취업 한 경우가 66%를 차지하였다. 둘째, 결혼해체경험 여성들의 23.4%만이 경제적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수준과 월평균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주택을 소유한 경우에 경제적 노후 준비를 할 가능성이 높았다. 노후경제상황에 대한 걱정은 경제적 노후 준비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ir determinants affecting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of Korea women in marital dissolution among baby boomers. Data of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2007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ere 238 women widows or in divorce or separation. The analysis of data employ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and Park, Chang Je’s model.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s of predisposing characteristics, enabling resources, perceived need and dependent variable consist of preparation for aging.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portion of the women in marital dissolution among baby boomers with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was low; 23%. Secondly, education level, monthly family income, housing ownership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Third, the concern of economic condition for aging is the negative factors on preparation for aging. However, the type and duration of marital dissolution did not give a significant effect on i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Korea Babyboomer Women In Marital Dissolution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베이비부머
dc.subject.keyword결혼해체 경험 여성
dc.subject.keyword경제적 노후준비
dc.subject.keywordBabyboomer
dc.subject.keywordWomen In Marital Dissolution
dc.subject.keyword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9
dc.citation.endPage5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2호, pp.29-5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0 No.2, pp.29-54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