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방과후 아동보육서비스 전달체계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The Efficient After School Child Care Delivery System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미숙
dc.date.accessioned2011-01-05T06:25:22Z
dc.date.available2011-01-05T06:25:22Z
dc.date.issued2006-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618
dc.description.abstract세계적인 저출산 현상과 가족해체증가, 맞벌이 가족의 증가 등 사회적 환경의 변화는 방과후 아동보호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방과후 보육서비스의 근거법, 예산지원 현황, 부처별 전달체계 구조, 프로그램 내용, 이용대상자의 유형 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방과후 보육서비스 전달체계가 효율성을 갖춤으로서 자원의 낭비없이 서비스가 전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복지국가 유형별 방과후 아동보육서비스 전달체계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방과후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는 중앙의 보건복지부 아동복지과, 여성가족부 보육지원팀,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정책추진단, 청소년위원회 복지지원팀 등이 있고, 부처별로 제공되는 서비스나 수혜대상자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가 없다. 아울러 표준화된 감독체계, 교사양성제도 등도 없어서 서비스의 전문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반면 외국에서는 단일 행정부에서 방과후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서비스의 전문성, 접근성, 질적 수준 등이 담보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 대안으로 우리나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부처간 연계체계가 필요하고, 각 서비스의 기능과 역할을 명확히 하여 서비스의 중복이나 이용상의 혼란을 최소화 해야 하고, 방과후 관련단독법 제정이 필요하며, 각종 방과후 서비스를 총괄할 수 있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the delivery system of after school child care in Korea where demands for after school child care rise sharply due to the increase of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legal measures, budgets, the structure of the delivery system, and the recipients of the services. It aims to detect whether the after school child care delivery system overly wastes resources, because similar services are provided by the several ministries simultaneously. Also by comparing four OECD countries’ systems, it drew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rom it.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have the coordinating system which relates various after schools systematically, clarify each school’s roles in order not to provide the overlapped services in different schools and to minimize complications in utilizing services, enact an individual after school child care service act, and set up a new administrative unit which is solely in charge of after school child care serv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사회복지 전달체계와 방과후 보육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한국의 방과후 아동보육서비스 전달체계 현황 및 문제점 Ⅳ. 복지국가 유형별 방과후 아동보육서비스 전달체계 Ⅴ. 결론 참고문헌 Summary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방과후 아동보육서비스 전달체계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Efficient After School Child Care Delivery System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저출산
dc.subject.keyword방과후 아동보육
dc.subject.keyword방과후 교실
dc.subject.keyword지역아동센터
dc.subject.keyword청소년 공부방
dc.subject.keyword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26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3
dc.citation.endPage3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26권 제2호, pp.3-3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26 No.2, pp.3-36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7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