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적 일자리(기업)의 가치평가 및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분석 = Estimating the Existence-Value and Economic Effect of the Social Enterpris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영호
dc.contributor.author노대명
dc.contributor.author고숙자
dc.date.accessioned2011-01-05T06:24:51Z
dc.date.available2011-01-05T06:24:51Z
dc.date.issued2005-08-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607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 유용성 및 공익성을 지니며, 수익의 공평한 배분과 사회환원을 실천하는 사회적 일자리 또는 사회적 기업은 사회에 상당한 기대가치(또는 편익)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일자리(기업)가 지니는 바람직한 가치에 대한 존재가치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기업이 실제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한 사회적 일자리 또는 사회적 기업의 개인별 기대가치(편익)는 10,782원이며, 전체 지불의사액은 3,589억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존재가치에 기반한 금액이 조성되어 투자가 이루어졌을 때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결과, 생산유발액은 약 2,278억원, 부가가치 유발액은 약 3,255억원, 그리고 취업유발인원은 1일 기준 약 10,29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일자리(기업)에 대한 보다 명료한 의사결정기준에 관한 토대를 제공해 주며, 이와 관련된 정책결정에 새로운 변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abstractSocial employment creation policy has been creating employment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the poor and the disabled through developing social enterprises(or social firms). The social enterprises which provide useful services to society, and practise fair distribution of profits and social restoration have the considerable expected value and benefi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 of social employment creation(or social enterprises) by applying to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Further, we analyze the propagation effects on the economy from the investment generated by the calculated value of the social enterprise using input-output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respondents answer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10,782 Korean won per person for social employment creation(or social enterprises). Applying to the whole population, we have approximately 359 billion Korean won as the existence-value of the social enterprise. Second, provided that our estimates, 359 billion won, are invested in the economy, induced effect on production is around 228 billion won, induced effect on value-added is 326 billion won, and induced effect on employment is 10,292 person as daily base.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provide more clearly information and some criteria for decision-making about social enterprises related poli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조건부가치측정법을 활용한 사회적 일자리 (기업)의 가치 분석 Ⅲ.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Summary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사회적 일자리(기업)의 가치평가 및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분석
dc.title.alternativeEstimating the Existence-Value and Economic Effect of the Social Enterpris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사회적일자리(기업)
dc.subject.keyword가치평가
dc.subject.keyword조건부가치측정법
dc.subject.keyword산업연관분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대명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고숙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영호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25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73
dc.citation.endPage9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25권 제1호, pp.73-9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25 No.1, pp.73-9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